지난해 8월 충남 아산에 사는 김모씨는 회사 옥외작업장에서 비 오는 날 몸이 젖은 상태로 핸드그라인더 작업을 하다 누전으로 감전 사망했다. 7~8월 여름철에는 기온이 상승함에 따라 작업자의 신체노출이 많아지고, 땀 또는 습기로 인해 인체저항이 낮아지며, 우천으로 인해 전기설비의 절연손상 가능성이 높아 감전재해가 집중 발생하고 있다. 노동부에 따르면 1998년~2005년 8년 동안 산업현장에서 감전으로 사망한 근로자 수는 모두 653명으로, 이중 41.8%인 273명이 7~8월에 집중적으로 재해를 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업종별로는 건설업이 370명(56.7%)으로 가장 많고 다음이 제조업 177명(27.1%)으로 2개 업종이 전체 사망자의 절대다수를 차지하고 있다. 감전재해원인은 △전기안전의식 부족 △절연관리 미흡 △절연 보호장구 미사용 △누전차단기 미사용 △전기기계기구 취급불량 등에 의해 발생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노동부와 한국산업안전공단은 본격적인 더위와 장마가 시작되는 7월을 맞아, 감전재해 예방을 위해 절연장갑 착용 등 전기 작업시 안전수칙을 준수하고 접지조치 및 누전차단기 등을 확인하는 등 안전점검을 강화하도록 당부했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