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과 미국, 중국이 오는 23일 중국 베이징에서 북한 핵문제를 논의하는 3자회담을 개최한다고 지난 16일 미국이 공식 발표했다.
미국은 핵을 포기하면 과감하게 북한을 지원하겠다고 협상카드의 색깔도 조금 내비쳤지만 회담의 빠른 성사에 비해서 결과에 대한 성급한 기대는 경계했다.
이 3자회담에 대해 교도통신은 미 정부 관리 말을 인용, 한국도 일본, 러시아와 함께 북-미-중 3자회담에 이어 ‘적절한 시기에’ 단계적으로 열리게 될 회담에 참여한다고 말해, 북핵 회담이 6자회담 등으로 확대될 것임을 시사했다.
회담 일자는 최종 확정되진 않았지만 23일부터 사흘동안 열릴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전해졌다.
3개국 협의에는 미국에서 제임스 켈리 국무부 동아시아 태평양 담당 차관보가 참석하며, 북한과 중국에서도 국장급 당국자가 참가할 것으로 알려졌다.
북-미-중 3자회담의 전격 개최 결정은 (지난해 10월) 북핵 위기가 불거진 이후 북-미 양자간 직접 협상만을 요구해 온 북한이 지난 12일 다자회담 수용 가능성을 시사하며 기존의 입장을 완화한 뒤 나온 것으로 보인다.
미국의 한 고위 관리는 ‘다자회담 틀’에 의한 대화 성사를 위해 기울여 온 노력이 결실을 맺었으며 북한은 ‘3자회담’이 수용할 수 있는 유일한 선택이라는 입장을 보여왔다고 밝히고, 중요한 당사자인 한국과 일본이 배제된 것도 주목된다고 말했다.
콜린 파월 미 국무장관은 ‘미국의 양보’ 여부에 대해 “결국, 북한 주변국들의 관심사가 모두 (3자회담에서) 표출될 것이며 어떤 지위의 누가 회담에 참석하든 주변국들의 견해가 반영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16일 필립 리커 국무부 대변인은 이번 3자 회담은 ‘예비적 조치(preliminary step)’로서 한국과 일본이 이 회담의 초기에 포함되도록 노력하고 압력을 넣겠다고 말해 한국, 일본의 회담참여 여부가 주목된다.
한편, 전문가들도 3자회담 등을 통해 북한이 핵포기 등을 약속할 경우 반대 급부로 제시될 경제지원을 위해서는 한국과 일본 등의 참여가 불가피한 만큼 5자 또는 러시아가 합세하는 6자 회담으로의 확대가 불가피할 것으로 보고 있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