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예상 의제 점검 상태…준비접촉 통해 포괄적 협의”
정부가 8·28 남북정상회담 준비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 가운데 회담의제에 대한 일부 언론과 정치권의 추측성 보도와 비난에 대해 청와대가 13일 “현 단계에서 구체적 의제가 확정된 것이 없다”고 밝혔다. 천호선 청와대 대변인은 이날 오후 정례브리핑을 통해 “최근 언론에서 우리 측이 제기할 것이라고 보도되고 있는 각종 의제나 제안은 어느 것도 확정된 것도 없고, 또 적지 않은 것들이 근거가 없는 것들”이라며 이같이 못 박았다. “사회 각 분야서 제기된 제안과 의견 참고”천 대변인은 “회담 의제는 우리가 제기할 것뿐만 아니라 우리 의사와 무관하게 북측이 제기할 의제도 있을 수 있다”며 “현 단계에서는 예상 가능한 모든 의제를 망라해서 점검하고 있는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지난 1차 정상회담 때와 마찬가지로 준비 접촉을 통해서는 매우 포괄적인 의제의 범위와 성격을 합의하게 되어있다”면서 “14일 예정된 준비 접촉에서 이것이 이뤄질 것으로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천 대변인은 “우리 측의 의제는 그간 정부와 사회 각 분야에서 제기되어 혼 것 중에 합리적인 제안과 의견을 참고하게 되어있다”면서 “최종적으로는 정상회담 준비기획단, 추진위, 대통령 보고를 통해서 그 내용을 확정하고 마지막 단계에서는 대통령이 직접 결정하게 되어있다”고 말했다. 그는 “모든 정상회담과 마찬가지로 회담 전에 미리 구체적인 의제를 공개하는 것은 아니다. 사후적으로도 합의문이나 공동선언문, 또는 공동 언론보도문 형식을 취하고 있고 그 내용은 포괄적으로 발표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날 브리핑에서 서해 북방한계선(NLL)이 의제에 포함되느냐는 기자의 질문에 대해 천 대변인은 “굉장히 중요한 문제”라며 “앞으로 의제를 정리해 나가는 과정에 있어서 정리된 입장들을 적절한 시점에 말씀드리고 회담에 임하게 되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말했다. “을지연습, 훈련 축소 아니라 방법 조정”한편, 천 대변인은 을지포커스렌즈(UFL) 연습에 대해 언급 “정부연습과 한·미 군사연습이라는 계획된 연습일정과 큰 틀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실시한다”고 전제한 뒤 “다만 국가적으로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는 남북정상회담이 연습 기간과 중복되었다는 점에서 정상회담을 성공적으로 추진할 수 있는 분위기를 만들기 위해서 우리군의 야외기동 훈련 등을 정상회담 이후에 실시하는 것으로 조정했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일부에서 말하는 것처럼 훈련이 축소되거나 취소되는 것이 아니라 훈련 내용의 시기와 방법이 조정되는 것”이라며 “이 결정 과정 자체가 정상회담추진위원회와 안보정책조정회이를 통해서 결정되어 있는 사실”이라고 덧붙였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