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와대 천 대변인, 6자회담 성과와 맞물려 시기 결정
청와대는 천호선 대변인은 8일 ‘2007 남북정상선언’에서 합의한 종전선언 추진을 위하 정상회담과 관련, “우리 정부의 입장은 중국이 동의한다면 4자 추진이 자연스럽다는 것”이라며 “앞으로 그런 부분들을 당사자국과 잘 협의를 해서 큰 문제없이 풀릴 것으로 본다”고 밝혔다. 천 대변인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3자, 4자 문제에 대해서 약간의 혼란이 있고, 그것을 좀 지나치게 확대해석 하는 보도가 있다”면서 “거듭 말씀드리지만 3자 또는 4자라고 한 것은, 3자 회담은 이미 공식적으로 정상 수준에서 이 문제를 제일 먼저 제기한 부시 대통령이 ‘노무현 대통령과 김정일 위원장과 내가 만나서 하면’이라는, 3자라는 구체적인 제안이 한번 있었기 때문에 3자라는 표현이 들어간 것이고, 남북 모두 중국의 의사만 있다면 중국이 들어오는 것들을 적극적으로 열어놓는다는 의미에서 4자도 넣은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천 대변인은 이어 “3자 또는 4자라는 것을 지나치게 잘못 해석해서 갈등 중심으로, 무슨 문제가 있는 것처럼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고 본다”며 “회담에 참석했던 분들의 말씀을 들어 보면 북측이 중국의 참여에 대해서 어떤 부정적인 견해를 갖고 있다는 느낌은 전혀 받지 못했다고 전해 들었다”고 강조했다. 천 대변인은 정상회담 시기에 대해서도 언급, “종전선언은 관련 당사국들의 협의에 따라서 시기가 많이 좌우될 것이며, 6자회담의 성과와도 맞물려서 관계가 있는 부분”이라며 “6자회담과 더불어서 이 종전선언 또는 평화체제에 대한 논의자체는 병행될 수 있다고 보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북한 비핵화 완료 시점과 4자정상회담의 연관성에 대해 “북핵문제가 해결된 것이냐, 언제 해결되는 것이냐에 대한 6자와 4자의 판단이 작용하는 것이라고 보면 된다”고 말했다. 천 대변인은 경협투자와 관련 “대통령께서 김정일 위원장을 만나서 설득하고 설명하려했던 가장 핵심적인 것이, 북측에서 남측의 투자 기업이 활동할 수 있는 여건을 만들어 줘야 된다는 것이었다”고 소개하고 “그래서 특구를 확대하자고 제안을 했고, 그 다음에 3통 문제를 해결하자고 제안한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소위 인프라 문제도 북측에 대한 일방적인 지원이 아니라 우리 기업들이 북측에 가서 일할 수 있는 여건을 만들기 위한 차원에서 제기된 측면이 강하다”며 “이런 전면적인 측면에서 볼 때 기업이나 시장의 원리를 모르고 했다는 평가야말로 정말 너무 내용을 모르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특히 “기업인들을 다른 때 보다 많이 모시고 간 것은 북측이 투자할 만큼 준비가 다 됐으니까 ‘투자하자’ 이런 차원이 아니었다”며 “북측에게 앞으로 기업인들이 투자하기 위해서 어떤 변화를 요구할 것인지, 그런 것들을 가서 ‘같이 얘기해 보자’ ‘가서 살펴보자’라는 차원에서 갔던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천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노무현 대통령이 정상회담 후속 일정으로 9일 김대중 전 대통령내외와 오찬을 함께하며, 10일 국회의장 대법원장 헌법재판소장 국무총리 중앙선거관리위원회위원장 등 헌법기관장 등과 간담회를 갖는다고 전했다. 노 대통령은 또 남북정상회담 자문위원단, 정당대표, 경제인들과의 만남도 계획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