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자원 화재 발생 나흘 만에 정부가 장애가 발생한 행정 시스템 647개의 전체 목록을 공개했다.
이용자 수 등에 따라 1에서 4등급으로 나뉜다.
가장 중요한 1등급 시스템은 당초 36개로 알려졌지만, 38개로 소폭 늘었다.
쇼핑을 제외한 '인터넷우체국'의 대부분 업무가 복구됐고, 인증 등에 쓰이는 '모바일신분증', '사회보장정보', '전자서명'이 우선 복구됐다.
반면, 정부 고지나 안내를 받을 수 있는 '국민비서', 국민 제안 창구인 '국민신문고', 인터넷으로 공문서를 제출하는 '문서24' 등은 아직 복구 중.
정부는 국민비서의 경우 상담 콜센터를 이용하도록 하고, 국민신문고는 각급 행정기관을 방문하라고 안내하고 있다.
하지만, 문서24처럼 뚜렷한 대체 수단이 없는 서비스도 보인다.
화재의 영향을 받은 국정자원 5층 전산실에서 맡던 국민비서와 문서24의 경우 복구에 2주가량이 걸릴 전망이다.
시스템 자체가 아예 불에 탄 국민신문고와 통합보훈정보의 경우 복구에 4주 정도 걸릴 것으로 정부는 예상한다.
그밖에 다른 1등급 시스템은 추석 연휴 중에라도 복구를 마치겠다는 게 정부의 계획이다.
한편, 이번에 공개한 전체 목록에 기재된 등급이 당초 알려진 것과 일부 다른 경우가 있어 복구 현황 등에 혼선도 빚어졌습니다.
정부는 이번 목록은 국정자원 대전센터에서 추출한 것으로, 개별 정부 기관이 관리하는 시스템 개수와 일부 다를 수 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