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중구가족센터, 거점사업 종사자 역량 강화 교육 실시
(뉴스21일간/노유림기자)=울산중구가족센터(센터장 서선자)가 11월 10일 오전 10시 국립 대운산 치유의 숲에서 울산 지역 5개 구·군 가족센터 종사자 30명을 대상으로 ‘거점사업 종사자 역량 강화 교육’을 실시했다. 이번 교육은 가족센터 종사자의 스트레스 관리를 돕고 업무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날 참여자들은 산림교...
▲ 사진=출판유통통합전산망하나의 콘텐츠를 여러 매체를 통해 전개하는 시대, 대중의 사랑을 받는 작품들은 영화나 게임, TV, 도서를 넘어 여러 매체로 뻗어나간다. 한국의 문화를 기반으로 만들어진 「오징어게임」같은 작품은 이미 우리나라를 넘어 전 세계적으로 흥행하고 있다. 「케이팝 데몬 헌터스」는 넷플릭스 조회수 3억을 넘고, OST 〈Golden〉이 빌보드 차트에서 장기간 상위권을 유지하고 있다. 이 작품은 K콘텐츠가 가진 힘을 보여주었고, 작품의 흥행은 한국 문화의 세계적인 확산으로 이어지고 있다. 성공한 K콘텐츠에는 어떤 장르의 문법이 숨어 있을까?
「케이팝 데몬 헌터스」는 케이팝 아이돌 그룹 헌트릭스가 악령을 물리치고 노래로 세상을 보호한다는 이야기이다. 케이팝 아이돌과 무속 신앙이라는 한국적인 요소를 흥미롭게 담아냈다. 주목할 점은 이 작품이 액션과 판타지, 성장물이라는 다양한 장르를 혼합해 만들어졌다는 것이다. 악령을 퇴치하는 헌트릭스의 모습은 액션과 판타지로 볼 수 있고, 있는 그대로의 자신을 받아들이는 스토리라인은 성장물의 특징이다. 「케이팝 데몬 헌터스」는 다양한 장르를 혼합하여 때로는 장르의 성공 공식과 문법을 따르고, 때로는 장르의 클리셰를 피해 신선함을 주는 감각적인 스토리텔링을 선보였다. 이를 통해 「케이팝 데몬 헌터스」는 전 세계 시청자들을 열광시켰고, 넷플릭스와 빌보드 차트의 역사를 다시 쓰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