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낙연, 유튜브 채널 ‘이낙연의 사유’ 개설… “한국 민주주의가 무너지고 있다” 직격
문재인 정부 국무총리를 지낸 이낙연 새미래민주당 상임고문이 유튜브 채널 **‘이낙연의 사유’**를 개설했다.기존 ‘이낙연 TV’ 외에 새 채널을 통해 정치 현안에 대해 직접 목소리를 내기 시작했다.이 고문은 “인생·사회·국가·세계의 미래를 함께 공부하고 사유하겠다”고 취지를 밝혔다.그는 일주일에 1~2회 콘텐츠를 올리며 온라인·...
울주군보건소, 영양플러스 사업 대상자 부모 심폐소생술 교육
(뉴스21일간/최원영기자)=울주군보건소가 11일 영양플러스 사업 대상자 부모를 대상으로 심폐소생술 교육을 실시했다.이번 교육은 응급상황 발생 시 즉각적으로 대처하고 예방 조치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추도록 지원하기 위해 마련됐다. 외부 전문 강사를 초청해 가정 내 안전사고 예방법, 하임리히법 및 심폐소생술 등 이론 교육과 실습 교육...
▲ 사진=KBS뉴스영상캡쳐북한 인권운동가 A 씨는 지난 9월, 스마트폰이 초기화되며 연락처 등 모든 데이터가 삭제됐다.
더 큰 문제는 그다음이었다.
A 씨의 SNS 메신저로 주변 사람들에게 악성코드 파일이 살포됐다.
의심을 한 지인들이 A 씨에게 연락했지만, A 씨는 이 연락을 받지 못했다.
해킹 공격이다.
국내 한 보안업체는 해킹 배후로 북한 해커 그룹 '코니'를 지목했다.
장기간 A 씨의 스마트폰과 PC 등에 침투해, 구글 등의 사이트에서 개인정보를 빼낸 뒤 2차 피해까지 입힌 것으로 분석했다.
신속한 대응이 어렵도록 구글 위치 정보 서비스로 A 씨가 외출한 틈을 노리고, 메신저 계정까지 탈취해 지인들과의 연락을 차단하는 치밀함을 보였다.
그동안 이론적으로만 가능했던 수법이 실제 공격으로 나타난 사례로 보고 있다.
이런 해킹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 로그인할 때 2단계 인증을 반드시 적용하고, 비밀번호 자동 저장은 삼가야 한다고 전문가들은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