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통수요의 지속적 증가로 인한 혼잡 개선방안으로 신도로 건설 및 도로 확장이 한계에 다다름에 따라, 도로 이용의 효율성 및 쾌적한 교통환경 조성을 위한 첨단 교통체계(ITS)의 연구, 개발이 추진되고 있다.
현재, 경기도의 경우 지자체별로 독자적인 계획을 수립하여 추진 중에 있으며, 이는 지자체간 ITS 시스템의 불균형적 발전을 초래하여 교통서비스의 단절을 야기하고 있다.
따라서 다양한 교통수단을 이용함에 있어, 보다 편리하고 안전할 수 있도록 지역간 ITS 서비스 연계를 도모하고 지역간 균형 발전을 유도하며, 도로의 효율적인 이용을 위한 경기도 종합 교통정보센터의 기능 및 역할은 매우 중요하다.
이와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경기개발연구원 교통정책연구부 빈미영 책임연구원이 수행한 ‘경기도 종합 교통정보센터 구축 방안 연구’에서 경기도 종합 교통정보센터를 구축함에 있어서, 그 기능과 역할을 도출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세 가지 분석방법을 적용했다.
첫째, 현재 ITS 사업을 추진 계획 중인 경기도 지자체의 현황을 조사하여, 우선적으로 시행해야 할 단위서비스를 도출하였으며, 둘째로 지역간 통행행태분석을 통해 지역 연계가능성 및 필요성을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이용자 및 교통공무원을 대상으로, 현재 지니고 있는 가장 심각한 교통문제 및 ITS 서비스 제공 관련 의견을 조사했다.
그 결과, 주차공간부족 및 버스 등 대중교통수단이용 불편이 가장 심각하다고 응답하였으며, 신호제어에 의한 혼잡해소 (소통원활), 버스정보제공(BIS), 주차가능공간 정보제공 등의 서비스를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통공무원의 경우 지자체 ITS센터의 기능을 통합하고 타 연계기관과의 정보 공유를 위한 종합 교통정보센터의 필요성을 강조하였으며, 연계관련 예산은 상위부서의 지원이 요구된다는 압도적 결과를 보였다.
ITS 시스템의 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시스템의 구축 및 유지보수 뿐만 아니라, 조직간 역할 분담에 따른 운영전략의 수립도 요구된다.
또한, 연계가 필요한 광역정보와 일부 지자체에서만 필요한 지역정보를 구분하여 제공하는 전략도 요구된다.
앞으로 이용자의 편의와 안전성을 높이기 위한 교통시스템의 첨단화는 계속될 것이며, 이에 부합되는 ITS 시스템의 도입은 불가피할 것이다.
이런 면에서 볼 때, 경기도 지자체의 ITS 개발 및 적용에 보다 힘을 실어주고, 효율적으로 운영 관리하며, 타 연계기관의 정보공유를 위해, 경기도 종합 교통정보센터 구축은 매우 중요하며, 업무를 추진할 조직의 마련이 시급하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