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가 치열한 신경전을 벌이면서 파국으로 치닫는 것 아니냐는 우려 가운데 6월 국회가 문 열 가능성이 여전히 희박해 보인다
PD수첩 사태 등 굵직한 현안이 잇따라 부각되면서 여야의 극한 대립과 막말 힘겨루기에 대변인들의 발언만 수위를 높여가고 있다.
한나라당은 "비정규직법 등 시급한 현안처리를 위해 더 이상 개회를 미룰 수 없다"면서 오늘(22일) 의총을 열어 단독국회 강행여부를 결정하겠다는 입장을 거듭 확인했다.
민주당은 "박연차 게이트 특검 등 요구사항이 하나도 수용되지 않아 국회 개회에 응할 수 없다"면서 "여당 단독 국회는 실력 저지할 것"이라고 맞섰다.
특히 청와대 이동관 대변인이 MBC 'PD 수첩'을 강도높게 비난하며 “MBC 경영진의 사퇴를 언급한 건 언론에 대한 공개적인 협박이다”며 “미디어법 처리를 시도할 경우 대규모 거리투쟁도 불사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미디어법과 함께 6월 국회의 최대 현안인 비정규직법 처리와 관련해서도 열쇠는 대통령이 쥐고 있다며 전선을 확대했다.
어제 제1차 정책당대회를 연 민주노동당도 "정권 퇴진 운동에 나서겠다"며 강경한 대여투쟁을 공언했다.
하지만 여야 모두 단독 국회와 거리투쟁 같은 정면 충돌에 부담을 느끼고 있어 막판 극적인 타결 가능성을 배제할 수는 없을 것으로 보입니다.
한나라당이 오늘 단독 국회 강행을 결정하고 국회 소집요구서를 제출하면 이르면 모레부터 여당 단독으로 국회를 운영할 수 있는 요건을 갖추게 됩니다.
한나라당은 이번 주 초 까지 6월 국회를 열기 위한 막판 담판에 나선 뒤 여의치 않으면 단독 국회를 소집한다는 방침이다.
이에 맞서 민주당은 물리적 저지도 불사하겠다는 입장이어서 양측이 해결점을 찾지 못한다면 또 다시 국회 충돌은 불가피해 보인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