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년 01월 12일 -- 식품의약품안전청(청장 이희성)은 ‘11년 건강기능식품 기능성원료의 개별 인정 현황을 분석한 결과, 국내 개발 비중은 점점 증가세를 나타내고 있다고 밝혔다. 이는 건강기능식품 개발에 대한 노하우가 축적되고 국내 연구개발 인프라가 지속 발전하고 있는 데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기능성원료 국내 개발 증가 추세
‘11년 인정된 기능성 원료 총 42건 중 국내 개발 원료는 12건으로 국내 개발 비중이 ‘08년 이후 증가하는 추세이다.
- 국내 개발 비율 : (‘08) 23%→(‘09) 25%→(’10) 27%→(’11) 29%
특히, 유산균발효다시마추출물(간건강)을 비롯하여 당귀등추출복합물(기억력개선), 인삼가수분해농축액(혈당조절) 등 국내 소재를이용한 신규 개발 원료가 다양해졌다.
이들 원료는 국내에서 인체적용시험을 거쳐 기능성이 입증된 것으로 인체적용시험 인프라가 확대됨에 따라 국내 연구개발 투자는 점점 활기를 띨 것으로 전망된다.
‘11년에 허가된 기능성 원료는 42건으로 전년(68건)에 비하여 줄어들었고 신규 원료도 13종으로 ’09년 (30종), ‘10년 (20종)에 비해 점차 감소 경향을 보였다. 다만, 현재 국내 연구개발로 진행되는 것들이 많아 새로운 기능성 원료의 인정 신청은 점차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기능성 원료 및 건강기능식품의 다양화
‘11년에 새롭게 인정된 기능성은 ‘방광의 배뇨기능 개선(호박씨추출물등복합물)’이었으며, 기능성원료 중 홍경천추출물은 ‘피로 개선’ 원료로서 인정 건수(8건)가 가장 많았고, ‘체지방감소’ 기능성으로 인정된 녹차추출물(5건)이 그 다음을 차지하였다.
또한 지난해 인정된 기능성원료를 사용하여 제품화된 건강기능식품은 혈행개선/기억력개선(62품목), 간건강(57품목)이 가장 많았으며, 체지방감소(51품목)·피로개선(26품목)·관절/뼈건강(18품목)·갱년기여성건강(15품목)·혈중중성지방개선(5품목)·긴장완화(4품목) 등 다양한 제품이 개발되었다.
식약청은 고령화 영향과 삶의 질에 대한 욕구가 높아지면서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건강기능식품 산업 활성화 및 국내 기능성소재 원료개발을 적극 지원하기 위하여 제품화 기술 컨설팅을 확대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