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환경부 한국환경공단이 무상으로 지원하는 사업장 악취저감기술 지원 사업이 총 27억 원의 비용절감
효과와 함께 높은 만족도를 기록하고 있다.
□ 환경부(장관 유영숙)는 여론조사 전문기관에 의뢰해 악취저감기술 지원 사업의 성과를 조사한 결과,
높은 악취감소 효과와 공정개선 등을 통한 비용감소로 총 27억 원, 사업장 당 평균 4,500만원의
비용절감 효과를 거두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고 10일 밝혔다.
○ 악취저감기술 지원은 사업장에서 배출되는 악취물질의 저감과 주변지역 대기환경 개선을 위해
2006년 한국환경공단에 기술지원 전담반을 구성, 영세 악취배출사업장에 대해 기술지원을 하는 사업이다.
- 2006에서 2011년까지 978개소를 대상으로 사업이 실시됐으며, 2011년에는 210개소의 사업장이
지원을 받았다.
○ 이번 조사는 여론조사 전문기관((주)포커스컴퍼니)에 의뢰해 악취저감기술 지원을 받은 사업장 중
2010년 하반기 이후 사후관리를 실시한 사업장 60개소를 대상으로 실시됐다.
- 웹메일과 팩스, 전화를 통한 설문조사로 진행됐으며 신뢰수준은 95% 표본오차는 ±9.08%다.
※ 2006년 이후 기술지원을 받은 사업장 중 시설개선을 실시한 사업장을 대상으로 악취저감 정도·개선
효과 분석 등 사후관리를 실시함
※ 전체 조사 대상수가 통상 표본 수에 비해 적어 표본오차가 높게 추산됨
□ 조사 결과, 악취기술지원에 따른 세부 비용절감 효과는 공정개선분야 1억 1,200만원(47개소),
운전 및 관리방법 개선 등 시설관리분야 7,000만원(46개소), 방지시설선택 분야 5,200만원(33개소),
시설설치 계획분야 3,800만원(11개소)으로 나타났다.
○ 특히, 한국환경공단에서 악취배출사업장을 직접 방문해 원인물질 파악 등 현장조사를 실시하고
사업장 특성에 맞는 공정개선 및 방지시설 선택 등 맞춤형 개선방안을 제시한 것이 높은 효과를
거둔 것으로 나타났다.
□ 함께 실시된 악취기술지원을 받은 사업장 주변지역 주민대상 만족도 조사에서는 만족도 점수 80.6점,
응답자 96.4%가 “기술지원 후 악취가 감소했다”고 답변했다.
○ 주민만족도 조사는 주변지역 주민 248명을 대상으로 1:1 개별면접을 통해 실시됐다.
(신뢰수준은 95%, 표본오차 ±6.22%)
□ 환경부에서는 영세 사업장에 악취저감기술 지원을 강화하기 위해 2012년 200개 사업장으로
사업지원 대상을 확대해 무상으로 악취저감기술 지원을 실시할 예정이다.
○ 이를 위해 기술지원 내용 등을 반영한 『악취방지법』을 지난 1일 개정?공포하며 사업 지원의
근거를 명확히 하기도 했다.
○ 사업은 현장조사, 악취저감방안 제시, 사후관리까지 단계적으로 제공할 계획이다.
○ 악취저감기술 지원 신청은 한국환경공단 홈페이지(www.keco.or.kr) 또는 팩스(032-590-3589)를
통해 하면 된다.
□ 이와 더불어 환경부는 사업장 악취저감과는 별개로 주민들의 생활환경과 밀접한 생활악취를
개선하고자 2011년 11월 이후 생활악취 저감 TF를 구성해 추진하고 있다.
○ 2012년에는 비규제 대상시설인 영세 음식점에 대한 맞춤형 기술지원을 수도권(서울, 인천, 경기)에
소재하는 음식점을 중심으로 시범 실시할 계획이다.
- 앞으로 영세 악취배출사업장, 축산농가 및 음식점 등 다양한 악취유발시설에 대한 맞춤형
기술지원으로 악취발생원 주변의 고질적인 악취문제 해소 및 대기환경 개선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