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동해안에서는 주로 잡힌 어종은 오징어, 붉은대게, 청어 순인 것으로 나타났다.
국립수산과학원(원장 김영만) 동해수산연구소에서는 2011년 동해안의 어획량을 분석한 결과 2010년 대비 102% 수준인 18만톤으로 나타났다.
※ 통계청 어업생산통계시스템 어획량 참조
지역별로는 강원이 4만7천톤, 경북이 13만 6천톤으로 경북 해역에서 어획량이 2.9배 많았고, 강원의 경우 전년(2010)비해88%, 평년(최근 5년간)비 66% 수준으로 저조했고, 경북은 전년 대비 108%, 평년비 92% 수준으로 유지되었다.
동해안에서 가장 많은 어획량을 기록한 오징어의 경우, ▲2009년 11만7천톤으로 최대치를 기록하였으나 ▲2010년 8만 3천톤 ▲ 2011년 8만 5천톤 수준으로 감소하였다.
붉은대게의 경우 전년도에 약 3만3천톤이 어획되어, 두 번째로 많이 어획된 종이었고, 전년대비 106%로 유사했다.
청어는 총 1만7천톤이 어획되어, 세 번째로 많은 어획량을 나타냈고, 경북에서 대부분 어획되었으며, 전년대비 188%로 호황이었다.
도루묵의 경우 총 3천7백톤이 어획되어, 전년대비 90%로 부진했고, 특히 경북에서 전년대비 57%로 저조했고, 강원에서는 104%로 유사했다.
국립수산과학원 동해수산연구소 박정호 박사는 동해안 어황정보지를 발간하여, 어업인들의 출어 및 조업에 실질적인 도움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하는 한편, 앞으로, "기후 변화에 따른 동해안 어장의 수온 변화 및 어종변화에 대한 연구를 다각화하여 어업인에게 보다 생생한 정보를 제공해 나갈 계획” 이라고 하였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