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비어있는 말벌집에 살고 있는 하늘다람쥐 발견
- 섬유질과 펄프재질로 되어 있어 보온력이 우수한 말벌집을 월동장소로 이용
□ 생존을 위한 지혜가 생태 상식을 넘어 새로운 공생의 사례를 만들었다.
□ 환경부 국립공원관리공단(이사장 정광수)은 월악산 국립공원에서 멸종위기종인 하늘다람쥐 한 마리가 비어 있는 말벌집에서 생활하고 있는 것을 관찰했다고 20일 밝혔다.
□ 이번에 발견된 하늘다람쥐는 암벽 아래 지름 30센티미터 정도의 용도 폐기된 말벌집에서 서식하고 있었다.
○ 하늘다람쥐는 일생 대부분을 나무위에서 생활하기 때문에 자연적으로 만들어지거나 딱따구리가 파놓은 나무구멍을 집으로 이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 말벌집은 섬유질과 펄프재질로 만들어져 보온력이 뛰어나 하늘다람쥐가 추운 겨울을 나기에 우수한 환경이기에 월동장소로 선택한 것으로 보인다.
□ 특히, 관찰조차 쉽지 않은 하늘다람쥐가 새끼 홀로 독립해 생활하고 있는 것을 발견했다는 것이 희소성을 더한다.
○ 하늘다람쥐는 특유의 비막을 이용해 행글라이더처럼 날아 나무사이를 이동하며 주로 저녁 해질 무렵부터 아침 일출 전까지 행동하기 때문에 관찰하기가 어렵다.
○ 하늘다람쥐 새끼는 보통 부모와 함께 겨울을 나며 새끼 홀로 겨울을 나는 경우는 드문 것으로 알려졌다.
□ 한편, 하늘다람쥐는 몸길이 15~20cm, 꼬리길이 9.5~14cm의 자그마한 몸집에 크고 초롱초롱한 눈망울을 가진 포유동물로서 성질이 온순하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