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위가 많이 누그러들고 낮 기온도 따뜻하다 싶을 정도로 상승했다. 아직 한 두 번의 추위가 더 오겠지만 해빙기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어떻게 해야 하는지 알아보자.
지반침하나 붕괴의 주요 원인은 기온이 0도 이하로 떨어지면 지표면 사이의 수분이 얼어붙어 토양이 부풀어 오르는 ‘배부름 현상’이 일어나고, 기온이 다시 0도 이상으로 높아지면 얼었던 공극수가 녹아내려 지반이 약화되는데 이때 지반침하나 건축물의 균열, 붕괴로 이어진다. 특히 낮과 밤의 온도가 영상과 영하를 반복하는 2월 하순부터 4월 초순까지의 해빙기는 이 같은 사고 위험이 도처에 도사리고 있다.
이러한 해빙기사고를 미연에 예방하기 위해서는 △공사장 주변도로나 건축물 등에 지반침하로 인한 균열이나 이상 징후는 없는지 △축대나 옹벽은 안전한지 △집 주위의 배수로는 토사 퇴적 등으로 막혀있는 곳이 없는지 △절개지나 언덕위에서 바위나 토사가 흘러내릴 위험은 없는지 △지하굴착 공사장에 추락방지를 위한 표지판, 안전펜스는 설치되었는지 △마을 앞 작은 교량은 차량 통행에 따른 하중에 안전한지 미리 확인하여야 한다. 위험요인이 발견되면 가까운 읍·면·동사무소나 시·군·구 재난관리부서 등 행정기관에 신고한다.
이 외에도 해빙기 얼음은 강, 호수의 가운데로 갈수록 얇아지고, 아래쪽부터 녹기 때문에 겉으로 봐서는 두께를 가늠하기 어렵다. 얼음낚시 등 얼음위에 오를 때는 빙질을 반드시 확인한 후 구명조끼를 입고 오르고, 얼음 위 취사나 뛰는 행위는 매우 위험함으로 삼가 한다.
또한 도로나 공사장 절개지 주변, 오래된 축대, 낡은 옹벽 등은 해빙기 안전사고 발생위험이 매우 클 뿐만 아니라 지반침하가 일어나면 가스·전기배관 등이 파손돼 자칫 대형 참사로 이어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기타 등산 시에는 날씨가 화창해도 산 위의 기온은 겨울임을 명심해 보온성이 좋은 옷을 착용하고, 계곡이나 바위 능선, 낙엽이 쌓인 곳은 추락위험이 크므로 특히 주의한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