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09년 대기 중 다이옥신 배출량, 2001년 대비 87% 대폭 저감
◇ 다이옥신 관리기준 강화 등 배출저감 정책 지속 추진
□ 환경부는 국립환경과학원과 함께 전국 소각시설 및 비소각시설에 대한 다이옥신배출농도를 측정한 결과, 2009년도 우리나라 다이옥신 국가배출량이 126.6g I-TEQ로 2001년 1,004g I-TEQ, 2007년 164.5g I-TEQ에 비해 각각 87%, 23% 감소됐다고 6일 밝혔다.
○ ‘다이옥신 국가배출량’은 비의도적으로 생산되는 잔류성유기오염물질(이하 ‘POPs’)의 근절을 위해 스톡홀름협약에서 관리하도록 규정하고 있는 것이다.
- 환경부는 다이옥신 배출량 관리 및 저감을 위한 ‘다이옥신 국가배출량’ 작성을 위해 2001년,
국내 실정에 맞는 다이옥신 배출원 분류체계와 배출량 산정기법을 개발했다.
- 이후, 비소각시설(철강, 비철금속, 에너지 등) 350여개 주요 산업시설에 대한 다이옥신 실측사업과 1,300여개 소각시설에 대한 다이옥신 실측을 통해 2005년에 2001년 다이옥신 국가배출량(목록)을 최초 발표하고 이후 2년마다 발표하고 있다.
※ 다이옥신 국가배출량(목록) : 확인된 배출원을 분류하고, 분류된 배출원으로부터 대기·수질 등 매체를 통해 환경으로 배출되는 다이옥신의 총량을 목록화한 것(실측치를 바탕으로 계산에 의해 최종산출)
※ 스톡홀름협약 : 잔류성유기오염물질(POPs)로부터 인간의 건강과 환경 보호를 위해 전 지구적으로 POPs의 단계적 저감 및 근절을 목표로 채택한 협약.
□ 환경부의 조사 결과에 따르면, 2009년 국내 소각시설(폐기물처리시설)은 48.0g I-TEQ의 다이옥신을 배출하며 2001년 배출량(880g I-TEQ) 대비 94.5% 감소했다.
○ 비소각시설은 78.6g I-TEQ의 다이옥신을 배출하며 2001년 배출량(123.8g I-TEQ) 대비
36.5%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 이러한 감소 추세는 환경선진국으로 평가되는 일본의 같은 기간(2001년 대비) 다이옥신 저감률(89%)과 거의 유사한 수준이다.
※ 다이옥신 : 폐기물소각, 화재, 담배 등을 통해 배출되는 다이옥신류와 퓨란류의 총칭(총 210종), 그 중 17종이 인체에 유해.(발암성, 심장기능 장애 등)
※ I-TEQ : 다이옥신 이성질체 중 가장 독성이 강한 2,3,7,8-TCDD(Tetra Chloro Dibenzo Dioxin)의 독성을 1로 하고 17가지 다이옥신에 대하여 값을 적용해 나타낸 다이옥신 농도
□ 환경부는 이후 국가 배출량 산정 범위를 확대하는 한편, 국내 배출원별 배출실태를 파악하는 등 지속적인 다이옥신 배출저감을 위해 노력할 예정이다.
○ 아울러, 다이옥신 국가배출량을 2년을 주기로 작성해 발표히며 관리를 지속해나갈 계획이다.
※ 2010년∼2011년 다이옥신 배출량(목록)은 2011년 데이터가 확정되는 2013년 상반기 발표 예정
□ 환경부 관계자는 “다이옥신 배출량 감소를 위해 그간 배출허용기준 설정·강화, 측정망 운영을 통한 환경 중 다이옥신 농도 모니터링, 배출시설에 대한 다이옥신 측정 점검을 통한 시설 개선 유도 등 다양한 정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해왔다”며 “앞으로도 국민이 유해물질로부터 안전한 환경을 조성할 수 있도록 더욱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