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도의 오송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운영비 분담액이 국회 예결위 활동이 끝난 후 결정될 전망이다.
첨단의료복합단지위원회는 18일 정부 서울청사에서 제9차 회의를 열고 제2차 종합계획(2014∼16)을 의결했다.
정부는 당초 이 계획에 재단의 인건비와 운영비를 지자체가 부담하도록 규정했지만 최종안에는 이를 빼고 정부와 지자체, 재단의 합산액만 계상했다.
정부예산이 확정된 후 재정당국과 협의를 거쳐 분담액을 결정하기로 한 것이다.
제2차 종합계획 기간 3자가 부담하는 금액은 4327억원이다.
충북도의 경우 1차 종합계획에 따라 지난 2010년부터 올해까지 3년간 80억원을 부담했다.
이는 첨복재단 이사장과 산하기관 센터장의 관사비용과 연구개발(R&D)사업비 일부다.
충북도는 1차 종합계획 수립 당시 정부의 초기 사업비 경감 협조 차원에서 이를 지원했다.
당초 2차 계획안에 지자체 부담이 명시되면서 충북과 대구가 강력 반발했다.
첨복단지의 골격이 완성된 시점에서 운영비와 인건비 부문의 비용이 눈덩이처럼 커지기 때문이다.
당초 안 대로라면 당장 다음해 충북도가 투입해야 할 운영비와 인건비는 107억원이다.
충북도는 일부를 부담키로 하고 다음해 비용 20억원을 확보한 상태이여서 80억원이 넘는 추가부담을 안아야 할 처지였다.
오는 2015년에는 194억원, 2016년에는 218억원 등 충북도가 안고 가야할 비용은 시간이 지날수록 더 늘어날 뻔했다.
충북도는 복지부문 등의 예산이 급증하는 상황에서 첨복재단 지원은 감내할 수 없는 사항이 아니라고 판단하고 보건복지부 설득에 나서 일부 결실을 따냈다.
하지만 국회 예결위에서 정부예산이 확정되더라도 정부와 협상을 또 해야 해 유불리를 가늠할 수 없는 상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