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충주시농업기술센터, 볍씨 소독 요령 홍보로 종자전염병 예방 -
충북 충주시농업기술센터(소장 조용민)가 본격적인 영농철을 앞두고 볍씨 종자에서 발생되거나 전염되는 병을 예방하기 위해 볍씨 소독 요령을 홍보하고 나섰다.
기술센터에 따르면 자가채종 종자의 볍씨 소독 방법은 소금물가리기(염수선) 처리를 반드시 준수하고, 물 20ℓ에 프로클로라즈유제 10㎖와 플루디옥소닐 종자처리액상수화제를 20㎖를 섞어 희석한 용액에 볍씨 10kg을 온도 30℃에 맞춰 48시간 동안 담가두면 된다.
또한 친환경 벼 재배농가에서는 60℃의 물에 벼 종자를 10분간 담가두는 온탕침지소독(친환경소독)을 실시하면 약제소독과 비슷한 효과가 있다고 한다.
다만, 운광벼, 일미벼, 삼광벼 등은 온탕침지에 민감한 품종으로, 처리조건을 지키지 않으면 발아율이 떨어질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정부보급종 볍씨는 소독약제를 묻혀 공급 하므로 30℃의 물에 48시간 동안 담가 소독하면 된다.
정부보급종을 완전히 소독이 된 것으로 잘못 알고 물로 씻어낸 후 물속에 담그거나 흐르는 물에 포대째 담그는 경우가 있는데, 이 경우 소독약제가 씻겨나가 소독 효과가 떨어지므로 주의해야 하며, 살균제를 추가 사용할 경우 발아율이 떨어지거나 초기에 모가 잘 자라지 않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볍씨를 소독할 때는 소독 순서를 반드시 지키고, 소독약이 효과적으로 볍씨 안으로 들어갈 수 있도록 볍씨와 물의 양 그리고 약제희석 배수를 반드시 지켜야 한다.
농업기술센터 관계자는 “발아기를 사용할 때 볍씨를 너무 많이 쌓으면 약액이 고루 묻지 않아 안쪽에 있는 종자는 소독이 되지 않고, 오히려 키다리병 병원균이 잘 자라는 조건이 될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