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창조과학부는 2014년도'국가과학기술혁신역량 평가'결과를 발표하고, 우리나라의 과학기술혁신역량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0개국 중 7위를 차지했다고 3일 밝혔다.
동 평가는 국가별 과학기술혁신역량을 비교·분석하기 위해서 2006년 부터 매년 실시하고 있으며, 각 국가별 과학기술혁신역량을 평가하기 위해 5개 부문(자원, 환경, 네트워크, 활동, 성과), 13개 항목으로 나누어 과학기술혁신역량지수(COSTII)를 산출하고 OECD 30개국을 비교․분석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금년도 평가에서 우리나라는 종합순위 7위로 전년대비 1단계 상승하였으며, 부문별로는 연구개발투자 등으로 대표되는 활동 부문(2위)과 자원 부문(8위)은 강점을 보인 반면, 연구개발(R&D) 지원제도, 문화 등으로 구성되는 환경 부문은 23위로 상대적인 역량이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1위 국가인 미국과 비교·평가에서는 미국의 62.0% 수준으로 평가되었으며 격차는 점차 좁아지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주요 국가별 현황을 살펴보면, 미국(1위), 스위스(2위), 일본(3위) 순으로 최상위 그룹이 형성됐으며, 아일랜드(11위→8위), 독일(6위→4위)은 전년대비 순위가 상승하였고, 핀란드(7위→9위), 스웨덴(4위→5위), 네덜란드(5위→6위)는 전년대비 순위가 하락했다.
미래부는 "종합 순위상승에도 불구하고 이번 평가에서 미진한 부분을 개선하기 위해 연구개발 혁신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또한 "금번 과학기술혁신역량 세부 평가결과는 미래부와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 홈페이지에 2015년 1월 게시될 예정"이라며 "국·영문 평가결과 보고서를 정부부처, 대학, 출연연구기관 등에 배포함으로써 관련 기관의 정책수립에 활용토록 할 계획"이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