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7개 시·도 우수 지방세 연구과제 발표 및 세정 발전방안 논의
보령시는 행정안전부 주관으로 17일부터 18일까지 1박 2일간 충남 보령시 한화리조트 대천파로스에서 ‘2025년 지방세정 발전 포럼’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1983년부터 매년 개최되고 있는 지방세 발전포럼은 지방자치단체 및 유관기관이 참석하는 지방세 최대 규모 행사로 자리매김해 오고 있다. 이번 포럼에는 행안부 지방재정경...

최근 7개월 동안 코스피가 상승장에서 400포인트 넘게 올랐지만 삼성전자 지수기여도를 제외하면 실제로는 230포인트 조금 넘게 오른 것으로 분석됐다.
삼성전자 효과를 제외하면 코스피는 이제 2,200선을 조금 넘는 수준이다.
2015년 실적이 확정 발표되고 주가에 반영된 이후인 지난해 4월부터 고려할 경우 삼성전자 효과를 제외하면 코스피는 아직 2,110선에 머물렀다.
삼성전자 주가가 오르지 않았다면 아직 '박스피'(박스권에 갇힌 코스피)를 벗어나지 못할 신세였다.
최근 삼성전자 외에도 다른 대형주들이 오르면서 삼성전자 기여도가 조금 줄었지만 아직도 절대적이다.
13일 자본시장연구원에 따르면 코스피가 본격적으로 오르기 시작한 지난해 12월 1일부터 전날까지 지수가 1,983.48에서 2,391.77로 408.02포인트(20.57%) 오를 동안 삼성전자 주가가 변하지 않았다면 코스피는 235.47포인트 올라(11.87%) 2,218.54가 됐다.
다른 대형주들도 올랐지만 삼성전자가 상승하며 172.55포인트(8.70%)만큼 지수를 더 끌어올렸다는 이야기다.
2015년 실적이 확정 발표되고 주가에 반영된 이후인 지난해 4월 1일부터 전날까지로 보면 코스피가 1,995.85에서 2,391.77로 395.92포인트(19.84%) 오를 때 삼성전자 주가가 그대로였다면 코스피는 114.45포인트(5.73%) 오른 2,110.30에 그친다.
이 경우에는 삼성전자가 코스피를 281.47포인트(14.11%) 더 끌어올린 효과를 낸 것으로 분석됐다.
삼성전자 효과 없이는 코스피가 아직도 박스권에 머물러 있게 된다.
코스피가 본격적으로 오르기 전인 지난해 4월 1일부터 같은 해 11월 30일까지 지수를 보면 코스피가 12.37포인트(-0.62%) 하락했는데 삼성전자 주가가 변동이 없었다면 코스피는 109.14포인트(-5.47%) 떨어진 1,886.71까지 하락하게 된다.
대형주들이 동반 하락했는데 삼성전자가 오르면서 96.77포인트(4.85%)만큼 하락을 막은 셈이다.
김준선 자본시장연구원 연구위원은 "삼성전자의 시가총액이 코스피 총액 대비 25% 정도여서 주가가 10% 오르면 코스피는 2.5% 오르는 효과가 있다고 설명했다.
김 연구위원은 "지난해 4월 이후 분석에서 보듯 삼성전자 기여도를 고려하면 코스피는 여전히 박스권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며 "다른 주식들은 여전히 정체를 보이는 셈"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