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시 교육청-동구비정규직노동자지원센터 청소년 노동인권보호 업무협약 체결
비정규직노동지원센터[뉴스21일간=임정훈]울산시 교육청과 울산동구비정규직노동자지원센터는 11월 12일 오후 2시, 울산시 교육청에서 천창수 교육감이 참석한 가운데 청소년 노동 인권 보호와 노동 침해 예방을 위한 업무 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업무협약에는 울산동구비정규직노동자지원센터를 포함한 울산북구비정규직노동자지원센...

한국산업마케팅연구소가 ‘2017 신재생에너지 분야별 시장·기업 동향과 유망 기술개발 현황’ 보고서를 발간했다.
세계 경제 침체와 국가 재정 악화로 인한 불확실한 지원 정책, 생산설비 공급 과잉, 셰일가스 개발과 저유가 등으로 인해 미래 신성장동력으로 주목받던 신재생에너지 산업 성장은 2010년 이후 둔화됐다. 하지만 2015년 12월에 채택된 파리 유엔기후변화협약에 따라 선진국에 국한되었던 수요가 개도국으로 확산되는 계기가 마련됐고, 최근 원자력 발전의 문제점과 대기오염 등 환경문제에 대한 심각성이 부각되면서 신재생에너지 시장은 재도약의 시기를 맞이하고 있다. 특히 정책적으로 일자리 창출 등 지속가능한 성장 측면에서 주목받고 있다.
신재생에너지는 2015년 세계에너지 최종 소비의 19.3%를 점유했으며, 한국에서도 2015년 1차 에너지 공급의 4.62%를 점유했다. 특히 바이오에너지, 태양광, 지열, 풍력, 연료전지 등의 성장이 주목된다. 한국 태양광 생산량은 2011년 이후 2015년까지 연평균 44.06% 증가했으며, 연료전지(38.07%)와 바이오(30.17%), 지열(29.62%) 등도 연평균 25% 이상의 높은 증가율을 나타내고 있다.
이에 따라 한국의 신재생에너지 제조 기업체수는 2016년 405개에서 2018년 576개로 증가할 것으로 예측되며, 2018년 매출액도 12조5000억원 이상으로 확대될 전망이다.
보고서에는 신재생에너지산업에 대한 세계 각국의 정책 동향과 태양광, 태양열, 풍력, 바이오, 수력, 수열, 연료전지 및 수소에너지, 폐기물, 지열, 해양, IGCC 등 신재생에너지산업의 주요 11개 분야에 세계·한국 시장 동향에 대한 종합 분석과 주요 참여 기업의 사업 동향 및 신재생에너지의 유망 기술개발 현황이 정리되어 있다.
이번 보고서는 데스크리서치 기반으로 자료 업데이트를 통해 2011년 이후 지속적으로 발간된 여섯 번째 보고서로 신재생에너지 시장 참여 및 신규 사업을 계획하는 업계와 연구 및 정책기관의 시장 이해와 마케팅, 경영전략 수립 등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