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환경부 소속 낙동강유역환경청(청장 신진수)은 2017년 한 해 동안 측정된 울산광역시 여천동 일대의 벤젠 대기농도가 2011년 이후 6년 만에 대기환경기준(5㎍/㎥ 이하)을 달성했다고 밝혔다.
울산 여천동 울산?미포 산업단지 유해대기오염물질 측정소에서 측정한 2017년 벤젠 연간 평균치는 4.25㎍/㎥로 2016년 9.15㎍/㎥보다 53%나 줄어들었다.
울산?미포 산업단지 일대는 석유화학 업종의 공장이 밀집돼 있어 그간 대기오염과 관련된 민원이 끊이지 않았다.
환경부의 2015년도 기준 화학물질 배출?이동량 정보에 따르면 이 지역 연간 벤젠 배출량은 약 32톤으로 전국 전체 벤젠 배출량의 26%를 차지했다.
개별 공장 대부분에서는 2012년부터 2016년까지 측정된 벤젠 농도는 대기환경기준(5㎍/㎥)을 약 1.4~1.8배를 초과했지만 지난해 기준 벤젠 배출 허용기준 10ppm 이하를 충족시켰다.
낙동강유역환경청은 단속 등 규제에 국한하지 않고 민관 협치에 중점을 두고 업체는 자발적으로 시설 등을 개선하고 환경청에서는 이에 필요한 교육, 기술 등을 적극 지원했다.
먼저 민관협치 체계 구축을 위해 16개사 벤젠 배출업체와 지난해 3월 울산 남구지역 벤젠 대기질개선협의회를 구성하고, 벤젠 배출 저감을 위해 사업장별로 자율개선계획을 수립하고 대기오염물질 방지시설 개선, 노후시설 교체, 누출감지시스템 구축 등에 약 104억원을 투자했다.
또한 국립환경과학원 연구진들이 16개 사 담당자를 상대로 벤젠 관리기법 및 측정방법 등을 교육하고 영세업체를 대상으로 기술 자문을 실시했다.
신진수 낙동강유역환경청장은 “이번 여천동 벤젠 대기환경기준 달성은 민관 협치를 통한 기업체의 적극적인 노력의 결과”라면서, “이 지역의 환경 개선을 위해 기업들과 적극적으로 소통하겠다”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