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베카, 북두칠성 아래 빛으로 잇는 우정… "한국·베트남 수교 33주년, 호찌민 주석 탄신 135주년 기념 특별전"
한국·베트남 수교 33주년, 호찌민 주석 탄신 135주년 기념 특별전 열린다. 2025년은 베트남 근현대사에서 특별한 의미를 갖는 해다. 베트남 통일 50주년, 독립 80주년, 그리고 호찌민 주석 탄신 135주년이 맞물리는 상징적인 해이자, 한국과 베트남이 수교를 맺은 지 33주년이 되는 해다. 이번 특별전은 역사적 해를 기념하기 위해 한국·베...
“도민 일상 속으로”…제주도, 한림서 첫 ‘현장 도지사실’ 가동
제주도가 도민 일상 속으로 한 걸음 더 가까이 들어갔다. 제주특별자치도는 21일 제주시 한림읍에서 ‘현장 도지사실’을 처음 운영하며, 지역 주민들이 생활 속에서 겪는 어려움을 직접 듣고 해법을 함께 찾는 소통 행정에 나섰다. 기존 도청 청사를 벗어나 주민 생활권으로 찾은 이번 도지사실은 ‘찾아가는 행정’의 새로운 시도로 주목...
(뉴스21/장병기기자)=전라남도는 오는 31일 제23회 바다의 날을 기념해 해양쓰레기 문제에 대한 도민 공감대를 형성하고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 28일부터 6월 5일까지 ‘해양쓰레기 정화주간’을 운영한다고 밝혔다.
이번 기간 동안 전남 16개 연안에서 전라남도, 시군, 유관기관, 민간단체, 어촌계, 지역 주민 등 총 2천500여 명의 인원이 참여해 해양쓰레기 정화활동과 해양보전 캠페인을 펼친다.
해마다 약 18만t의 해양쓰레기가 우리나라에 버려지고 그 중 약 4분의 1이 전남 연안에 버려지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때문에 해양 생태계 훼손, 수산자원 감소, 관광산업 위축 등 사회․경제적 피해가 심각하다.
전라남도는 해양수산부의 해양쓰레기 관리 기본계획에 따라 전남 특성에 맞는 시행계획을 해마다 세워 시행하고 있다. 약 100억 원을 들여 해양쓰레기 선상 집하장, 폐스티로폼 감용기와 같은 기반시설을 갖추고, 바닷가와 양식어장에 방치된 해양쓰레기를 치우고 있다. 도민과 함께하는 ‘바다 청소의 날’ 운동도 2015년부터 꾸준히 펼치고 있다.
하지만 행정기관의 노력만으로는 한계가 있다. 쓰레기의 해양 유입을 줄이고 근본적 해양쓰레기 문제 해결을 위해 해양쓰레기 저감을 위한 국민 참여와 인식 개선이 우선돼야 한다. 정부 차원의 ‘해양쓰레기 정화주간’을 운영하는 이유다. 이 기간 동안 전국 동시다발적 해양쓰레기 일제 수거행사 전개로 해양쓰레기 문제에 국민적 관심을 유도한다는 방침이다.
전라남도는 완도군과 공동으로 31일 완도항 해변공원에서 ‘바다의 날’ 도 단위 기념식을 한 후 참석자 500여 명과 함께 주변 정화활동을 실시한다. 15개 연안 시군도 지방청, 어촌계, 민간단체 등 2천여 명이 참여해 정화주간 기간 동안 정화활동을 펼칠 예정이다. 해양쓰레기 되가져오기 등 도민 실천 캠페인도 한다.
송원석 전라남도 수산자원과장은 “정화주간, 도민이 함께 참여해 바다의 소중함을 깨닫고 해양쓰레기 문제의 심각성을 인식하길 바란다”며 “삶의 터전이자 미래 식량자원의 보고인 바다를 지키기 위해 많은 도민이 책임의식을 갖고 적극 앞장 서줄 것”을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