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베카, 북두칠성 아래 빛으로 잇는 우정… "한국·베트남 수교 33주년, 호찌민 주석 탄신 135주년 기념 특별전"
한국·베트남 수교 33주년, 호찌민 주석 탄신 135주년 기념 특별전 열린다. 2025년은 베트남 근현대사에서 특별한 의미를 갖는 해다. 베트남 통일 50주년, 독립 80주년, 그리고 호찌민 주석 탄신 135주년이 맞물리는 상징적인 해이자, 한국과 베트남이 수교를 맺은 지 33주년이 되는 해다. 이번 특별전은 역사적 해를 기념하기 위해 한국·베...
“도민 일상 속으로”…제주도, 한림서 첫 ‘현장 도지사실’ 가동
제주도가 도민 일상 속으로 한 걸음 더 가까이 들어갔다. 제주특별자치도는 21일 제주시 한림읍에서 ‘현장 도지사실’을 처음 운영하며, 지역 주민들이 생활 속에서 겪는 어려움을 직접 듣고 해법을 함께 찾는 소통 행정에 나섰다. 기존 도청 청사를 벗어나 주민 생활권으로 찾은 이번 도지사실은 ‘찾아가는 행정’의 새로운 시도로 주목...

성남시가 판교공원 마당바위에 전망 및 안전시설을 설치한다는 명분으로 팔각정과 데크 공사를 진행 중에 있다.
판교공원 ‘마당바위’는 판교 주민들에게 쉼의 공간이고, 판교 전역이 한 눈에 들어오는 전망을 가지고 있어 매년 1월 1일 해돋이를 보기 위해 많은 시민이 찾는 명소이다.
그런데, ‘마당바위’ 부근에 공사를 알리는 현수막이 붙고, 공사용 산길을 넓히는 작업이 한창 진행 중에 있다.
성남시 공원과는 1월 1일 해돋이를 보기 위해 마당바위에 오르는 시민의 안전을 위한다는 것이 중요한 명분 중에 하나이다. 시민의 안전을 위한 시설을 만드는데 반대할 이유는 없다. 그러나 자연을 훼손하면서 추진되는 공사의 경우 반드시 필요한 시설인가 다른 대안은 없는가에 대해서는 고민이 필요하다.
판교공원 ‘마당바위’는 판교 주민들에게는 뒷산으로 일부러 시간을 내지 않아도 산책삼아 가볍게 산행할 수 있는 공원이다.
마당바위에 시민이 몰리는 날은 365일 중에 단 하루뿐이다.
평창 동계올림픽 3일간 치러지는 활강경기를 위해서 500년의 가리왕산의 축구장 66개 면적의 산림을 훼손했다는 사실은 이미 많이 알려진 사실이다.
성남시는 강원도의 이 같은 실수를 반복해서는 안 된다.
판교공원의 상징인 ‘마당바위’를 훼손하면서 인공시설을 만들고, 나무를 베어가면서 정자를 만드는 것이 경관과 가치를 높아진다고 주장하는 성남시 공원과의 설명을 보면, 공원을 자연과 함께 공존하면서 쉬는 공간이 아니라, 각종 인공구조물을 설치해야 한다는 토목의 관점에 비롯된 것이다.
지난 8년간 성남시 환경정책은 낙제점이었는데 그 중에 ‘공원. 녹지’는 최하위였다. 공원과 자연을 지켜야 할 공원부서가 천연의 경관을 자랑하는 마당바위에 인공구조물을 설치하려고 한다.
성남시의 이 같은 행태를 보다 못해 지역 주민들이 직접 나섰다.
‘마당바위’를 지키기 위해 서명에 나서고 있다. 짧은 시간이지만, 천명이 넘는 주민들이 지지해 주고 동참해 줬다.
판교공원 마당바위 공사는 주민과의 소통 없이 졸속으로 추진되었다.
주민의 편리 증진을 위해 만든다는 시설을 주민들에게 제대로 된 설명회도 제공하지 않았다.
2011년 남한산성도립공원 내 문화재와 자연을 고려하지 않고, 성곽에 철재 데크 공사를 추진하다가 시민들의 반대로 공사가 중단된 바 있다. 공사를 시작했더라도 그것이 잘못되었다면 얼마든지 중단하거나 취소할 수 있다.
얼마 전 성남시는 탄천의 인공구조물인 미금보를 철거했다. 강이 흘러야 하는 것처럼 자연은 그대로 둬야 한다. 자연 공원도 마찬가지이다.
판교공원이 위치한 녹지 공간 자체가 시민들에게 휴식공간으로 만족을 주고 있다.
민선 7기 성남시장 은수미 당선인에게 정중히 요청한다.
성남시 판교공원 내 ‘마당바위’ 공사 중단을 요청하고, 민선 7기 성남시 출범 후 사업을 철회해야 한다고 성남환경운동연합은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