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베카, 북두칠성 아래 빛으로 잇는 우정… "한국·베트남 수교 33주년, 호찌민 주석 탄신 135주년 기념 특별전"
한국·베트남 수교 33주년, 호찌민 주석 탄신 135주년 기념 특별전 열린다. 2025년은 베트남 근현대사에서 특별한 의미를 갖는 해다. 베트남 통일 50주년, 독립 80주년, 그리고 호찌민 주석 탄신 135주년이 맞물리는 상징적인 해이자, 한국과 베트남이 수교를 맺은 지 33주년이 되는 해다. 이번 특별전은 역사적 해를 기념하기 위해 한국·베...
“도민 일상 속으로”…제주도, 한림서 첫 ‘현장 도지사실’ 가동
제주도가 도민 일상 속으로 한 걸음 더 가까이 들어갔다. 제주특별자치도는 21일 제주시 한림읍에서 ‘현장 도지사실’을 처음 운영하며, 지역 주민들이 생활 속에서 겪는 어려움을 직접 듣고 해법을 함께 찾는 소통 행정에 나섰다. 기존 도청 청사를 벗어나 주민 생활권으로 찾은 이번 도지사실은 ‘찾아가는 행정’의 새로운 시도로 주목...

한국도자재단(대표이사 서정걸)은 5일 ‘제2차 광주조선백자요지 학술세미나’를 서울 국립고궁박물관에서 개최한다.
한국도자재단은 지난 2010년부터 광주조선백자요지의 보존 및 유지관리, 학술조사연구, 정비와 활용방안 연구 등 다양한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경기도 광주조선백자요지는 조선시대 중앙관요가 밀집되어 있는 곳으로서 현재 약 320여 개의 가마터가 남아있다.
광주시 일대는 조선시대 초부터 관영사기공장이던 사옹원의 분원이 있어서 왕실과 관청에서 사용하는 자기를 제작해 왔으며, 땔감이 풍부하고 질 좋은 백토로 유명하여 백자 제작의 최적지였다. 이러한 광주조선백자요지는 관요 설치 이전부터 분원까지 도자기의 제작양상과 시기별 특징이 잘 나타나 있는 역사적으로 의미 있는 곳으로서 1985년에 사적 제314호로 지정되었다.
‘제2차 광주조선백자요지 학술세미나’는 ‘한·중·일 가마터의 조사와 활용’을 주제로 한국·중국·일본 도자전문가의 발표와 토론으로 진행된다. 특히, 사가현 가라츠시와 나가사키현 하사미쵸 등 일본 자기가마터 사적 현황이 국내에 최초로 소개되어 학계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이밖에도 경기도 광주 분원관요 유적의 조사 성과와 한양도성 출토 관요백자의 양상, 중국 경덕진요의 고고학적 조사와 보존관리 현황 등 각계 전문가의 발표와 토론을 통해 한·중·일 가마터의 향후 보존 및 활용에 대해 서로 교류하는 자리가 될 예정이다.
서정걸 한국도자재단 대표이사는 “가마터의 보존 및 활용이 잘 되고 있는 일본과 중국의 가마터 사례를 통해 보존 가치가 있고, 활용 가능성이 높은 광주조선백자요지의 보존 및 활용에 대한 새로운 방법을 도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