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베카, 북두칠성 아래 빛으로 잇는 우정… "한국·베트남 수교 33주년, 호찌민 주석 탄신 135주년 기념 특별전"
한국·베트남 수교 33주년, 호찌민 주석 탄신 135주년 기념 특별전 열린다. 2025년은 베트남 근현대사에서 특별한 의미를 갖는 해다. 베트남 통일 50주년, 독립 80주년, 그리고 호찌민 주석 탄신 135주년이 맞물리는 상징적인 해이자, 한국과 베트남이 수교를 맺은 지 33주년이 되는 해다. 이번 특별전은 역사적 해를 기념하기 위해 한국·베...
“도민 일상 속으로”…제주도, 한림서 첫 ‘현장 도지사실’ 가동
제주도가 도민 일상 속으로 한 걸음 더 가까이 들어갔다. 제주특별자치도는 21일 제주시 한림읍에서 ‘현장 도지사실’을 처음 운영하며, 지역 주민들이 생활 속에서 겪는 어려움을 직접 듣고 해법을 함께 찾는 소통 행정에 나섰다. 기존 도청 청사를 벗어나 주민 생활권으로 찾은 이번 도지사실은 ‘찾아가는 행정’의 새로운 시도로 주목...

수원시가 23일부터 방사성 물질인 라돈(Radon) 성분이 검출된 침대 매트리스를 자체적으로 수거하기 시작했다.
대진침대(주)로부터 리콜 접수 자료를 받은 수원시는 수원 지역에서 아직 회수하지 못한 리콜 대상 매트리스 570개를 27일까지 전량 수거하기로 했다.
48개 수거 반(1개 반 3명)이 매트리스를 수거해 수원시 자원순환센터로 옮긴 후 원자력안전위원회 지침에 따라 최종 처리할 예정이다. 27일 이후에도 추가로 요청이 들어오면 매트리스를 수거할 계획이다.
수원시는 대진침대(주)의 수거가 늦어지면서 불편을 호소하는 시민이 늘어나자 최근 해당 업체 본사를 방문해 “직접 수거하겠다.”는 의견을 전달했다. 사후 보상·교환 과정에서도 시민에게 불이익이 생기지 않도록 할 것을 협의했다.
수원시는 라돈 매트리스를 안전하게 수거·처리하기 위해 원자력안전위원회에 협조를 요청한 바 있다. 원자력안전위원회 담당 사무관은 지난 16일 수원시를 방문해 “리콜대상 매트리스는 비닐로 밀봉하면 유해성이 99% 차단돼 안전에 문제가 없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또 매트리스를 보관하게 될 수원시 자원순환센터를 실사하고 “보관에 적합하다.”는 의견을 냈다.
수원시는 수거 담당자와 자원순환센터 근무자 전원을 대상으로 안전교육을 했다. 또 수거 담당자에게는 마스크와 장갑을 지급한다.
염태영 수원시장은 지난 10일 열린 ‘찾아가는 현장간부회의’에서 “우리 시 자체적으로 ‘라돈 침대’ 수거 대책을 수립하고 즉각적으로 실행하라.”고 지시한 바 있다. 이번 매트리스 수거는 염 시장의 지시에 따른 것이다.
염 시장은 “이른바 ‘라돈 침대’ 사태가 일어난 지 두 달이 지났지만, 시민 불안은 가시지 않고 있다.”면서, “수거 대책을 수립하고 환경국장이 총괄해 실행하라.”고 말한 바 있다. 또 “매트리스 수거 담당자에게는 사전에 안전교육을 하고, 반드시 안전장비를 착용하고 일할 수 있도록 하라.”고 강조했다.
수원시 관계자는 “이번 자체 수거로 그동안 어쩔 수 없이 리콜대상 매트리스를 집안에 보관하고 있던 시민들의 불편이 해소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