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혜빈 저자, 『작은 목소리를 큰 희망으로』 출판기념회 개최
동구의회 윤혜빈의원[뉴스21일간=임정훈]울산 동구는 윤혜빈 저자의 신간 『작은 목소리를 큰 희망으로』 출간을 기념하는 출판기념회가 오는 2025년 11월27일(목)저녁7시,동구청 2층 대강당에서 열린다고 밝혔다.이번 저서는 3년 동안 지역 현장에서 들려오는 작은 목소리를 더 넓은 사회적 공감과 희망으로 연결하고자 하는 저자의 의정 활동...

안동시농업기술센터는 2010년 자체 연구개발 사업으로 추진해 특허 등록한 ‘유해 조류 퇴치장치’를 지역의 유해 조수류 전문 퇴치기 제작 업체인 ㈜한국농림시스템에 2018년 11월부터 3년간 기술 이전한다.
이 특허는 전기를 설치하기 어려운 지역에 태양광을 이용해 고음의 스피커를 통해 천적의 소리를 방출하고 360° 회전하는 가로축 파이프 끝에 독수리 모빌을 부착해 유해 조류의 접근을 방지하는 원리로 개발됐다.
유해 조수류에 의한 농작물 피해는 2005년 전국적으로 50억 원 정도의 피해를 봤지만 2017년 경상북도 피해액만 82억여 원으로 집계될 정도로 크게 증가하고 있다. 농업인들에게는 인건비 증가와 더불어 영농상 큰 골칫거리로 해결책을 요구하는 민원이 증가하고 있다.
기존 방법인 카바이드(carbide)를 이용한 폭음소리와 과수원에 매단 스피커의 소음은 까치에게는 이미 익숙해진 방법이다. 또 망사 주머니에 냄새가 고약한 좀약이나 나프탈렌, 목초액 등도 걸어놓고 피라미드 모양의 반사거울과 반짝이 줄, 과수원 곳곳에 까치 사체를 매달아 놓는 등 갖가지 방법을 동원했지만 학습능력이 우수한 까치를 속이지는 못하고 있다
조류 중 가장 영리한 까치를 속이고 학습을 할 수 없는 특단의 기술이 없는 한 피해액은 해가 거듭될 수로 증가할 것이지만 이번 기술 이전에 따른 ‘풍속감응 회전식 조류퇴치기’를 장착할 경우 조류의 학습능력에 혼선을 일으켜 농작물 피해를 줄일 수 있고 상당기간 퇴치에 활용될 가능성이 클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안동시농업기술센터 관계자는 “현재 우리와 유사한 여건인 중국의 중북부지역에도 유해 조수류의 피해가 많이 발생되고 있어 퇴치 방안으로 본 개발품의 구입을 문의하고 있어 앞으로 한, 중 합작에 의한 품목으로 육성도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하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