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완근 제주시장, 도의회 지적 현안 직접 점검… 시민 불편 해소 ‘속도’
김완근 제주시장이 제주도의회 행정사무감사에서 지적된 현안을 직접 챙기며 시민 생활 불편 해소에 속도를 내고 있다.24일 김 시장은 제443회 도의회 행정사무감사에서 제기된 안전·복지·교통 분야 주요 현장 4곳을 방문해 실태를 점검했다. 이번 현장 행보는 정책 질의 과정에서 드러난 생활밀착형 문제를 신속히 개선하기 위한 조치로, ...

서울시가 주택밀집지역의 열악한 주차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주차장 마련에 발벗고 나섰다.
올해부터 주차장 건설 지원 대상의 문턱을 낮추고, 지원금 비율도 최고 100%까지 대폭 늘려 ’22년까지 총 6,642대가 주차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한다는 목표다.
특히 시급한 비강남권역의 주택가 주차여건 개선에 힘을 쏟는다. ’22년까지의 목표치 중 63%(4,200면)를 비강남권에 조성한다는 계획이다. 강남3구에 비해 비강남권역 주차장 확보율은 10% 가량 낮은(강남3구 평균 141%, 비강남권 평균 130%) 실정이다.
서울시는 비강남지역의 가용부지가 대부분 시비지원대상이 아닌 60억 미만의 소규모 사업인 점을 감안해, 소규모 주차장도 지원받을 수 있도록 시비 보조 심사 대상을 사업비 60억 이상 주차장에서 20억 이상 사업으로 확대했다.
당초엔 총사업비 60억(시비 40억)이하는 시비지원이 제외되었으나 소규모 주차장도 지원받을 수 있도록 2개 이상 대상지를 1개로 묶어 시비지원 가능토록 투자심사기준을 완화했다.
또한 입체식 주차장뿐 아니라 평면식 주차장도 지원 대상에 추가하고 소규모주차장(10면 내외)은 투자심사를 제외토록 했다.
아울러 서울시는 기존 최대 70%까지 지원하던 주차장 건설비용을 최대 100%까지 늘렸다. 최초 지원은 기존과 동일하게 30~70% 범위에서 지원하되, 추가로 10~30%를 지원하는 방식이다.
소방차 진입 곤란 등 화재취약지구(최대 100%)에 대한 지원을 확대하고 전통시장 주변도(경계 100m 이내) 최초 보조율에 추가 20%를 지원한다는 계획이다.
올해는 서울시내 총 62개소 2,922개 주차면 건설에 시비 지원하여 17개소 765면을 완공하여 주차환경이 열악한 주택가에 주차공간을 확보하여 이용시민들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게 됐다.
○ 지원대상 : 주택가 14개소, 학교 1개소, 공원 5개소, 소규모 42개소
○ 준공대상 : 남가좌동 주차장 등 17개소 765면(소규모 102면 포함)
서울시가 주차환경개선사업을 통해 ’96년부터 작년까지 조성한 주차공간은 총 254개소 26,272면 주택가 189개소 16,460면, 학교운동장 29개소 3,975면, 공원 및 도로 36개소 5,837면
이다. 주택가 주차장 확보율은 평균 101.9% 2017.12.31.자 기준
까지 개선됐다. 하지만 다세대‧다가구 주택 과밀지역 확보율은 70%를 밑돌아 주차수요 해갈이 시급하다고 판단하고 있다.
고홍석 서울시 도시교통실장은 “주택밀집지역 주차장 확보율이 향상되면 주민들의 생활편의 개선은 물론, 불법 주정차가 야기하는 긴급차량 진입곤란문제, 운전자의 시야를 가려 발생하는 보행자 사고 등 안전문제 해결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며, “주차난이 심각한 지역을 우선 고려해 가며 지역 간 균형 있는 주차여건 개선에 힘쓰겠다.”라고 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