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은 신형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해 명확한 진단과 치료방법이 개발될 때까지 '국경 봉쇄' 방침을 고수하겠다고 밝혔다.
김형훈 북한 내각 보건성 부상(차관급)은 27일 재일본조선인총연합회 기관지 조선신보와 동영상 인터뷰에서 코로나19 차단의 핵심은 '차단'이라며 "현재 국경의 입국지점들 하고 항만, 비행장들에서 일체 외국인들이 들어오는 것을 불허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진단 방법과 치료방법이 완전히 확립될 때까지는 이 사업을 계속 지금처럼 진행하려고 한다"고 강조했다.
북한은 코로나19가 전 세계로 확산하기 시작하던 지난달 22일 선제적 조치로 외국인의 북한관광을 금지했다. 이어 지난달 31일부터는 국외에서 평양으로 들어오는 국제항공, 국제열차와 선박편의 운행을 전면 중단했으며, 한 달이 다 돼가는 지금까지 '봉쇄 조치'를 유지하고 있다.
김 부상의 발언으로 미뤄, 북한 당국은 한국 등 주변국에서 코로나19가 확산되는 것을 신중하게 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나아가 코로나19의 확산 기세가 꺾일 때까지 국경 봉쇄 조치를 계속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
김 부상은 "현재 우리나라에는 단 한명의 환자도 들어오지 못했다"며 감염자가 없다는 기존 입장을 유지했다. 이어 "당과 국가, 무력의 책임일군(간부)들이 망라"된 비상방역지휘부를 중심으로 강도 높은 방역 사업이 진행 중이라고 말했다.
또 "현재 세계적으로 치료약과 치료방법이 구체적으로 세워지지 못한 조건"이라면서 국가적으로 항바이러스 의약품 긴급생산을 지시하고 양약 개발을 서두르고 있지만, 민간요법과 한약도 적극 활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이어 사스, 에볼라, 메르스, 홍역 등과 같은 과거 전염병 사례를 언급하면서 "투쟁 과정에서 이룩된 풍부한 경험에 기초해 감염자들이 발생한 경우에도 긴급대처할 수 있는 준비를 완료해 나가고 있다"면서 내부 불안을 다독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