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등 47개국 1억8300만명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식량 부족을 겪을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유엔 식량농업기구(FAO)는 18일(현지시각) '코로나19가 식량 위기에 미치는 영향 보고서'를 공개하고 "부유한 나라들조차 코로나19가 식량 접근성에 미치는 영향이 이미 가시화하고 있다"며 이같이 경고했다.
보고서는 "보건 위기가 해결될 때까지 식량위기 문제에 손을 놓고 있을 수는 없다"며 "코로나 전파 우려로 나라마다 국경을 폐쇄하면서 세계 물류망이 영향을 받은 데다, 농업에 의존하는 취약국들은 농번기 작업과 수확 활동마저 지장이 생겼다"고 썼다.
그러면서 코로나 사태가 장기화될 경우 파종과 수확에도 영향을 미치고, 나아가 전 세계적인 식량 위기를 야기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코로나19에 따른 북한 등 취약국의 식량 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연말까지 3억5000만달러(한화 약 4천320억7천500만원)가 필요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는 지난달 식량 안보 해소에 필요한 금액으로 발표한 1억 1000만 달러보다 3배 증액된 수치다.
FAO는 지난 3월 발표한 올 1분기 '작황 전망과 식량 상황' 보고서에서 북한을 식량 부족 국가로 다시 지정했다.
유엔 산하 세계기상기구(WMO) 역시 북한 주민 1000만여명이 식량 원조가 시급한 상태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