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은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15일 북측에 정의용 국가안보실장과 서훈 국가정보원장을 특사로 파견하겠다는 제안을 했으나, 김여정 노동당 제1부부장이 이를 거절했다고 조선중앙통신을 통해 밝혔다.
북한 관영 조선중앙통신은 17일 “우리의 초강력 대적 보복공세에 당황망조한 남측은 문재인 '대통령'이 우리 국무위원장 동지께 특사를 보내고자 한다고 간청해왔다"고 보도했다.
이어 "특사는 정의용 청와대 국가안보실장과 서훈 국가정보원장으로 한다면서 방문시기는 가장 빠른 일자로 하며 우리측이 희망하는 일자를 존중할 것”이라고 했다고 전했다.
통신은 “남측이 앞뒤를 가리지 못하며 이렇듯 다급한 통지문을 발송한 데 대해 김여정 당 중앙위원회 제1부부장은 뻔한 술수가 엿보이는 이 불순한 제의를 철저히 불허한다는 입장을 알렸다”고 했다.
그러면서 “이렇듯 참망한 판단과 저돌적인 제안을 해온데 대해 우리는 대단히 불쾌하게 생각한다”며 남측이 코로나19 사태로 북한 국경이 봉쇄됐음에도 특사를 보내겠다는 ‘불경스러운 태도’를 보였다고 비판했다.
특히 문재인 대통령을 들어 “남조선 집권자가 ‘위기극복용’ 특사파견놀음에 단단히 재미를 붙이고 걸핏하면 황당무계한 제안을 들이미는데 이제 더는 그것이 통하지 않으리라는 것을 똑똑히 알아두어야 할 것”이라고 조롱했다.
통신은 “김여정 제1부부장은 남조선 당국이 특사파견과 같은 비현실적인 제안을 집어들고 뭔가 노력하고 있다는 시늉만 하지 말고 올바른 실천으로 보상하며 험악하게 번져가는 지금의 정세도 분간하지 못하고 타는 불에 기름끼얹는 격으로 우리를 계속 자극하는 어리석은자들의 언동을 엄격히 통제관리하면서 자중하는것이 유익할것이라고 경고했다”고 덧붙였다.
지난 15일이면 김 제1부부장이 '다음 단계 행동'으로 대남 군사 행동을 예고한 담화를 발표한 지 이틀 후이자 북한이 실제 개성 남북 공동연락사무소를 폭파하기 바로 전날이다.
당시 김 제1부부장은 "우리는 곧 다음 단계의 행동을 취할 것"이라며 "다음 번 대적 행동의 행사권은 우리 군대 총참모부에 넘겨주려고 한다"라고 밝혔다. 또 "머지 않아 쓸모없는 북남 공동연락사무소가 형체도 없이 무너지는 비참한 광경을 보게 될 것"이라며 연락사무소 폭파를 예고했다.
이에 정부는 특사 카드를 꺼내들었지만 북한 측에서 거부했고, 16일 남북연락사무소를 폭파하며 남북대화 단절을 시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