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성길 북한 전 주이탈리아 대사대리의 망명이 1년이 지난 뒤에야 공개된 배경에 부인 제보가 결정적 역할을 했다는 관측이 나왔다.
국회 정보위원장인 더불어민주당 전해철 의원은 7일 국회에서 취재진과 만나 “조 전 대사대리가 지난해 7월 한국에 자진해서 왔다”고 밝혔다.
당초 조 전 대사대리는 제 3국 망명을 추진했으나 무산되자 국내에 입국했다. 조 전 대사대리는2018년 11월 이탈리아 로마에서 잠적한 이후 8개월 동안 스위스, 프랑스, 동유럽 국가 등을 거쳐 지난해 7월 입국했다.
조 전 대사대리는 한국에 들어온 후 북한에 있는 가족의 신변 안전을 우려해 본인의 입국 사실 공개를 극도로 꺼린 것으로 알려졌다. 관계 당국도 같은 뜻에서 조 전 대사대리의 입국을 함구했다.
그러나 조 전 대사대리의 부인이 딸의 신변을 걱정해 북한으로 돌아가길 희망하며 복수의 방송사를 찾아 ‘북한행’ 의사를 피력하면서 이들의 한국행 사실이 밖으로 새어 나왔을 가능성이 제기됐다.
현재 이들의 딸은 북한에 거주하고 있다. 지난해 2월 이탈리아 외교부는 조 전 대사대리의 당시 미성년 딸이 2018년 11월 14일 북한으로 돌아갔다고 확인했다.
일각에서는 이번 공개로 딸을 비롯해 조 전 대사대리의 재북 가족이 위험에 처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특히 지난 6월 북한 김여정 노동당 제1부부장이 일부 탈북민 단체의 대북전단 살포를 문제 삼으며 북한 내부에서도 탈북민 혐오 정서가 고조된 상태다.
당시 북한 매체는 동시다발적으로 열린 탈북민 규탄 군중 집회 소식을 전했고, 느슨했던 탈북민 가족에 대한 당국의 감시도 한층 강화됐다는 소식이 전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