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내각 총리가 금강산관광지구의 개발사업 현장을 시찰하며 독자 개발을 향한 행보를 보였다.
20일 조선중앙통신에 따르면 북한의 경제를 총괄하는 김덕훈 내각총리가 금강산관광지구 현장 시찰했다. 이는 지난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자이 금강산 내 남한 시설들을 철거하라는 지시가 나온 지 1년여 만이다.
통신은 이날 김 총리가 고성항 해안관광지구, 해금강 해안공원지구, 체육문화지구 등을 돌아보면서 “명승지들을 개발하여 인민들의 문화 정서적 요구를 최상의 수준에서 충족시킬 데 대한 당의 구상을 금강산관광지구 총개발계획에 정확히 반영하고 집행하는 데서 나서는 실무적 문제들을 토의했다”고 보도했다.
김 총리는 특히 “금강산지구를 현대적이며 종합적인 국제관광문화지구로 훌륭히 꾸리기 위한 개발사업을 연차별, 단계별 계획에 따라 밀고 나가며, 인민들이 자연경치를 한껏 즐기면서 휴식할 수 있게 건설에서 ‘선 편리성, 선 미학성’의 원칙을 철저히 지킬 것”을 강조했다.
신문은 김 총리는 “관광지구를 금강산의 자연경관에 어울리면서도 민족적 특성과 현대성이 결합된 우리 식으로 건설함으로써 민족의 명산 금강산이 인민을 위해 복무하는 명산, 온 세상이 부러워하는 문화휴양지로 되게 할 것”이라고 말했다고 전했다.
이번 김 총리의 금강산관광지구 시찰은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금강산 개발 지시의 연장선으로 보인다.
앞서 김정은 국무위원장은 지난해 10월 금강산 시찰 과정에서 “보기만 해도 기분이 나빠지는 너절한 남측 시설을 싹 들어내도록 하라”고 지시한 이후 북한은 ‘시설 완전 철거·문서 협의’를 남측에 요구했다. 이어 지난해 12월에는 개성 남북공동연락사무소를 통해 올해 2월까지 금강산의 남측 시설물을 모두 철거하라고 요구하는 대남 통지문도 발송했다.
그러나 올해 초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인해 철거와 개발이 중단됐다.
이번 시찰이 다시금 금강산관광지구 독자 개발을 추진하겠다는 의지를 보인 것이 아니냐는 해석이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