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 바이든 차기 미 행정부의 국무장관으로 지명된 토니 블링컨이 “북한 관련 모든 미국의 기존 대북 정책을 재검토할 의향이 있다”고 말했다.
19일(현지시간)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블링컨 지명자는 이날 미 상원 외교관계위원회 인사청문회에서 이같이 밝혔다. 블링컨 지명자는 북한과 어떤 일을 하든 간에 단지 안보 측면이 아니라 인도주의적 측면에 유의하는 것도 확실히 하고 싶다고도 말했다.
그는 또 북한의 비핵화 문제와 관련해 “이것은 행정부마다 괴롭혔던 어려운 문제이기 때문”이라며 “이는 나아지지 않았던 문제다. 실제로는 더 나빠졌다”고 말했다. 이어 “나는 시작하기 어려운 문제라는 것을 인정하면서 시작하겠다”며 “그래서 우리가 하려는 첫 일 중 하나는 전반적 접근법을 재검토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블링컨 지명자는 “이는 우리의 동맹과 파트너, 특히 한국과 일본, 그리고 나머지와 긴밀히 상의하고 모든 권유를 재검토하는 것으로 시작한다”며 “우리는 거기에서 시작할 것이고, 그에 관한 대화를 환영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대북 인도적 지원 문제와 관련해 "북한에서 또 비슷한 상황에 처한 곳에서 우리는 그 나라의 국민에 대해 분명히 유의하고 그들의 고통을 덜어주기 위해 할 수 있는 일을 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했다.
그러면서 "과거 정권이 핵 문제에 관여하면서도 대북 인도적 지원을 한 사례를 살펴보겠다"며 "우리는 단지 방정식의 안보적 측면만이 아니라 인도주의적 측면도 유의하고 있음을 확실히 하고 싶다"고 덧붙였다.
한편, 블링컨 지명자는 전 세계 정부, 파트너들과 협력하는 미국의 외교 재활성화를 통해 ‘전략적 경쟁국’인 중국, 러시아의 위협은 물론 북한과 이란의 위협에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우리는 (동맹국과) 함께할 때 훨씬 더 나은 위치에서 러시아·이란·북한의 위협에 맞서 민주주의와 인권을 옹호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미국의 글로벌 리더십은 여전히 중요하며, 이를 발휘하지 않으면 경쟁국들이 개입해 그 공백을 메우거나 혼란이 생길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