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에즈 운하에 좌초됐던 컨테이너선 에버 기븐(Ever Given)호가 운하 밖으로 예인되면서 수에즈운하 통행이 7일 만에 재개된 가운데 이집트 정부가 사고 책임을 선장에게 돌리며 선주측에 배상금 지급을 요구할 것으로 알려졌다.
29일(현지시간) 러시아 스푸트니크통신에 따르면 마하브 마미시 이집트 대통령 항만개발 및 수에즈운하 담당보좌관은 이날 스푸트니크통신과의 인터뷰에서 "이번 사고의 책임은 에버기븐호의 선장에게 있다"며 “선박 좌초로 인한 보상과 예인선 사용료 등 모든 비용을 선주에게 청구할 것”이라고 말했다.
에버 기븐호는 일본 쇼에이 기센이 소유한 배로, 대만 선사인 에버그린이 빌려서 운항하고 있다. 수에즈운하관리청이 추정한 사고 손실액은 하루 1400만 달러(약 158억 원) 수준이다.
앞서 에버 기븐호는 지난 23일 오전 수에즈 운하 중간에서 좌초했다. 이 선박은 운하를 사선으로 가로막아 다른 배들의 통행도 전면 중단됐다. 사고 즉시 용선사인 에버그린 측은 “갑자기 불어온 강풍 때문에 (배가) 항로를 이탈하며 바닥과 충돌해 좌초한 것으로 의심된다”고 했지만, 수에즈운하관리청은 기계적 결함이나 사람의 실수가 개입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밝히며 선원들의 과실에 무게를 실었다.
다만 사고 원인은 아직 명확하지 않다. 해운업계에 따르면 수에즈운하를 통항할 때는 통상 현지 도선사 1∼2명이 승선한다. 통과에만 11시간가량이 걸리고, 운항 당국과 교신이 잦은 터라 물속 사정을 가장 잘 아는 도선사가 배의 운항을 주도한다. 에버 기븐호 역시 사고 당시 도선사가 운항을 주도했다면 책임 소재는 달라질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향후 치열한 소성전이 예상된다.
한편 마미시 보좌관은 이번 사고에도 불구하고 운하에 대한 보강 공사는 필요하지는 않다고 밝혔다. 그는 “운하는 완벽하게 안전하다. 모든 선박이 사고 없이 지난다”며 “사고가 발생하는 건 아주 드문 일”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