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이 내년에 개최되는 중국 베이징 동계올림픽 공동 보이콧을 추진한다는 의혹이 불거지며 논란이 일자 백악관이 직접 나서서 사실이 아니라며 진화에 나섰다.
7일(현지시간) 워싱턴포스트(WP)와 AFP통신 등에 따르면 젠 사키 백악관 대변인은 이날 언론 브리핑에서 "올림픽에 관한 우리 입장은 변하지 않았다"며 "미국의 관점에서, 베이징 올림픽과 관련한 우리의 계획의 어떤 변화에 관해 논의를 진행하고 있지 않다"고 말했다.
이어 "우리는 동맹, 파트너들과 함께 어떤 공동 보이콧도 논의한 적이 없고, 논의하고 있지 않다"고 강조했다.
이날 발언은 네드 프라이스 국무부 대변인이 전날 언론 브리핑에서 중국의 인권탄압 문제에 대한 압박 차원에서 동맹과 공동 보이콧을 논의할 수 있다는 식으로 언급했다가 빚어진 논란을 진화하려는 목적으로 보인다.
프라이스 대변인은 동맹과 베이징올림픽 공동보이콧에 나설 것이냐는 질문을 받자 "그건 우리가 분명히 논의하고 싶은 것"이라며 "이것은 지금과 향후 모두 의제에 올라있는 이슈 중 하나"라고 말했다.
그러나 이 발언은 당장 반발에 직면했다.
자오리젠(趙立堅)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스포츠를 정치화하는 것은 올림픽 헌장 정신에 어긋나고 각국 선수들의 이익과 올림픽 사업에도 손해를 끼치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또 서구권이 문제 삼아온 위구르 집단학살 주장에 대해 "세기적인 거짓말"이라며 "우리는 신장의 실제 상황을 여러 장소에서 소개했다"고 반박했다.
미국올림픽·패럴림픽위원회(USOPC) 수잰 라이언스 위원장도 이날 "미국의 젊은 선수들이 정치적 노리개로 사용돼야 한다고 믿지 않는다"며 보이콧 반대 입장을 밝혔다.
사키 대변인은 이날 올림픽에 미국인과 다른 참석자들이 참여하길 희망한다면서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상황을 감안할 때 보건 전문가가 결정할 부분이라고 말했다.
그는 "분명 우리는 바라건대 전 세계의 충분한 사람들이 백신 접종이 이뤄진 시점에 있길 희망한다"며 "그러나 이 부분에 관해 우리는 보건과 의료 전문가에게 맡길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