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남북관계와 북·미관계가 얼어붙은 가운데 프란치스코 교황이 재차 방북 의사를 피력했다.
26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프란치스코 교황은 최근 한국 대전교구 교구장인 유흥식 라자로 주교를 접견한 자리에서 이러한 입장을 밝혔다.
유 주교는 교황이 방북 이슈와 관련해 "같은 민족이 갈라져서 이산가족처럼 70년을 살아왔다. 이 얼마나 큰 고통인가. 같이 살아야 한다"며 "준비되면 북한에 가겠다"고 말했다고 전했다.
또 "교황은 최근 들어 자신의 방북과 관련한 한국 내 관심이 높아지는 것도 잘 알고 있다"고 전했다.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으로부터 공식 초청장이 오면 북한에 가겠다는 의사를 재확인한 것이다.
이러한 언급은 미국에서 가톨릭 신자인 조 바이든 대통령이 이끄는 새 행정부가 들어선 것을 계기로 한국 가톨릭교회와 민간 차원에서 교황 방북 재추진 여론이 형성되는 가운데 나온 것이다.
앞서 2018년 평창동계올림픽을 기점으로 판문점 남북 정상회담과 싱가포르 북미 정상회담이 잇따라 열리며 한반도 해빙 분위기가 고조되자 교황청 내에서 교황의 방문 추진 움직임도 구체화됐다.
그러나 2019년 2월 하노이 북미 정상회담 실패로 모든 실무 작업이 중단됐다.
교황은 이전에도 "공식적으로 초청하면 갈 수 있다"(2018년 10월 문재인 대통령 접견), "나도 북한에 가고 싶다"(2020년 11월 당시 이임하는 이백만 주교황청 대사 접견)는 등 여러 차례 방북 의지를 내비친 바 있다.
다만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방역을 위해 국경을 걸어 잠근 북한이 교황을 초청할지는 의문이다. 북한은 지난해 중국 우한에서 코로나19가 발생한 직후 국제사회와의 교류를 전면 중단한 상태다. 경제 사정이 열악한 북한은 코로나19 방역 때문에 엄청난 부담을 안고 있으며 백신 구매 등은 엄두도 못 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