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무현 대통령은 `아시아문화중심도시 광주 프로젝트′′가 차질없이 진행될 것임을 강조하고, 이를 통해 광주가 새로운 문예부흥의 시발지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창동 문화관광부 장관도 광주를 `아시아 문화예술의 허브(Hub)도시′′로 만들겠다는 비전과 함께 추진경과와 향후계획을 제시하고 `국립광주아시아문화전당′′건립 계획을 보완·발표하는 등 `아시아문화중심도시 광주′′ 조성계획을 재확인했다.
노 대통령은 지난 7일 오전 11시 광주5·18기념문화관 대동홀에서 박광태 광주시장과 시민대표, 지역 문화·예술계 인사 등 2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열린 `아시아문화중심도시 광주 조성계획 보고회′′에서 이 장관으로부터 기본 구상을 보고 받았다.
노 대통령은 이날 보고회에서 “아시아문화중심도시 광주 프로젝트는 도시 전체를 문화적으로 리모델링하는 대역사(大役事)”라며 “광주는 새로운 문예부흥의 시발지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 장관은 보고를 통해 “광주를 아시아 문화도시로 특성화하는 이유는 광주가 지닌 역사적, 정신적 자산들을 아시아의 여러 민족들과 공유하기 위한 것”이라고 밝히고 이를 위해 광주를 `아시아 문화예술의 허브도시′′로 육성하겠다는 비전을 제시했다.
그는 또 광주문화중심도시 조성사업을 계기로 광주가 문화를 주제로 한 미래형 도시의 모델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전통과 첨단을 결합한 문화산업도시′′ 그리고 `교육개혁을 위한 문화교육 시범도시′′로 조성하겠다는 목표도 내놓았다.
그는 이와함께 “문화중심도시 조성사업을 통해 광주가 얻게 될 효과는 지대할 것”이라며 “아시아 문화전당이 도심 일원에 세워짐으로써 공동화되고 낙후된 구 도심의 경제가 되살아나게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이 장관은 특히 “광주문화중심도시 조성계획은 구체적이고 합리적으로 진행될 것이며 정부는 여기에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약속하고 “앞으로의 일정 또한 성실히 준비하겠다”고 밝혀 광주 문화수도 육성사업이 차질없이 추진될 것임을 거듭 확인했다.
이날 보고회에서는 또 목포대 조경만 교수(문화관광부 문화행정위원회 지방분권추진 TF팀원)가 `국립광주아시아문화전당 건립방향′′ 보고를 통해 문화전당의 입지와 기능, 시설 등에 관한 윤곽을 제시했다.
조 교수는 아시아 문화전당의 입지와 관련 “탈식민지와 근대화의 역사, 5·18민주화의 역사가 응축된 도심일대가 문화전당의 의의를 잘 살린다고 생각한다”고 밝히고 “도심의 역사성 때문에 광주가 아시아 민주화의 모델이 되고 있다는 점에 주목했다”며 `도심일원′′을 입지로 제시했다.
그는 또 “아시아문화전당은 광주문화중심도시를 향한 전진기지이며 동시에 국민 삶의 질을 높이는 문화역량의 발전소 역할을 하게된다”며 “문화교류와 문화연구, 문화교육 등 3가지 기능을 수행하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조 교수는 이어 “아시아문화전당은 세계의 유수한 문화공간들이 지닌 문화향유와 전시기능을 수행하는데만 그치지 않을 것”이라며 “문화의 향유를 넘어서 문화를 생산하고 전 세계로 문화의 열망을 넓혀 나가는 `문화발전소′′역할을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