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출처 = 이낙연 의원 페이스북]더불어민주당 대권주자였던 이낙연 전 대표 측이 도중 사퇴한 정세균 전 국무총리, 김두관 의원의 득표를 '무효 처리'한 당 지도부에 강력히 반발하며 결선투표 실시를 요구했다.
이낙연 캠프 공동선대위원장인 홍영표 의원은 11일 오전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캠프 소속 의원 일동 명의의 입장문을 내고 "잘못된 무효표 처리를 바로 잡아야 한다"며 "이재명 후보의 득표율은 49.32%로 과반에 미달해 결선투표를 반드시 진행해야 한다"고 밝혔다.
홍 의원은 "10일 민주당 선관위와 지도부의 경선 결과 발표는 명백히 당헌·당규에 위배된다. 특별당규에 대한 지도부 판단에 착오가 있었다"며 "당헌·당규를 오독해서 잘못 적용하면 선거의 정통성이 근본적으로 흔들릴 수 있다"고 경고했다.
그는 무효표 적용과 관련한 특별당규 조항을 들어 "9월 13일 이전에 정 후보에게 투표한 2만3천731표와 9월 27일 이전에 김 후보에게 투표한 4천411표는 사퇴하지 않은 후보에게 투표한 것이므로 당연히 유효투표"라고 주장했다.
이어 "이들이 얻은 표는 이미 순회경선에서 선관위가 개표결과를 발표할 때 유효투표로 공표한 것이며 이후 무효라고 별도 공표나 의결도 없었다"며 "당연히 어제 최종 결과 발표 때 '단순 합산'에 포함하는 것이 당헌·당규에 맞다"고 했다.
홍 의원은 "선관위원장이 개표 결과를 공표한 순간 유효투표로 확정되는 것이어서 후보자가 사퇴했다고 소급해서 무효로 할 수는 없다"며 "선관위 발표는 명백한 당헌·당규 위반"이라고 재차 주장했다.
캠프 정치개혁비전위원장인 김종민 의원은 "지금 송영길 대표나 당 최고위원 일부는 당헌 당규상 이론의 여지가 없다고 확신하는 데 그것은 착오"라며 "송 대표 주장대로 무효가 되려면 '사퇴한 때에는 사퇴한 후보자의 모든 투표는 무효가 돼야 한다'는 규정이 있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김 의원은 "선관위는 이미 유효투표라고 당시에 발표했는데 나중에 갑자기 두 후보의 유효표를 빼버렸다"며 "의도했다면 부정선거이고 의도하지 않았다면 실수이자 착오다. 빨리 바로 잡아야 한다"고 말했다.
총괄본부장인 박광온 의원은 "경선 불복을 운운하는데 이것은 전혀 다른 문제"라며 "축구, 야구 경기에서 심판 판정에 문제가 생기면 영상판독장치로 다시 판독한다. 이의를 신청하는 것"이라며 "그런데 이의를 신청했다고 경기 불복이라고 이야기하느냐"고 말했다.
홍 의원은 '가처분 신청 등 법적 대응도 고려하느냐'는 질문에 "정치적 정무적 리더십이 발휘돼 문제가 슬기롭게 해결되길 바란다"며 "당의 여러 시스템을 통해 바로잡힐 수 있다. 법적 대응은 현 단계에서는 고려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이재명 후보 캠프 총괄본부장인 박주민 의원은 대선 경선 결과에 대한 이낙연 전 대표 측의 이의신청과 관련해 "승복을 해주시는게 필요하다"고 말했다.
박 의원은 이날 한 라디오방송 인터뷰에서 "청와대에서도 경선 과정이 원만하게 진행된 부분에 대해 특별히 언급했고, 과정을 봐도 절차에 위배됐다든지 하는 것이 없었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어 "2012년 경선에서도 비슷한 논란이 있었는데 그때도 지금과 같은 방식으로 무효표 처리가 됐더라"며 "작년 8월 특별당규로 다시 그 규정을 확인한 것이다. 그래서 당으로서도 다른 해석의 여지가 없다"고 말했다.
이낙연 전 대표 측은 "경선 불복은 절대 아니다"는 입장이지만 경선 결과를 인정할 수 없다는 것이라서 향후 대혼란이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