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출처 = 청와대]청와대가 요소·요소수 품귀 현상과 관련해 “정부가 미리 대처하지 못해 불편을 초래한 데 송구스럽게 생각한다”고 사과했다. 그러면서도 "정부 대응은 잘했다"고 '자와자찬'하는 모습을 보였다.
유영민 대통령 비서실장은 10일 국회 운영위원회에 출석해 정부의 대응이 무책임하고 무능했다는 국민의힘 의원들의 지적에 “‘조금 더 일찍 이런 사태를 예견하고 준비해왔더라면’ 하는 아쉬움이 있다”고 답했다.
이어 “관련 정보를 더 빨리 의미 있게 받아들여 예측하고 준비했어야 한다는 점은 뼈아프게 (생각한다)”라며 “내부적으로도 한번 짚어보기로 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도 “늦었지만 정부가 지난주부터 굉장히 빨리 움직여 단기간에 대응을 잘했다”고 평가했다.
그는 “일본의 수출규제가 소재·부품·장비산업에 전화위복이 됐듯 이번에도 학습 효과가 있었다”며 “비싼 수업료를 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청와대는 한국 기업들이 중국 측과 계약한 요소 1만8700t이 곧 국내에 반입되는 절차를 밟는 등 요소수 대란을 해결하는 데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밝혔다.
유 실장은 "중국 등의 조치로 3개월치는 해결됐다"며 "단기적으로 중국 의존도 낮추기 위한 수입다변화, 장기적으로 제2, 제3의 요소수 사태 막기 위한 대책을 세워 발표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번 사태로 자원 무기화나 공급망이 무너져서 발생하는 것에 대해 정교하게 검토하고 있다"며 "대체로 1000개 품목을 대상으로 전략화할 것, 안정적 재고 가져 가야할 것 등 우선순위를 가릴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이같은 유 실장의 답변에 국민의힘은 "무책임하다"고 비난했다.
양준우 국민의힘 대변인은 이날 논평을 내고 "요소수 품귀 현상으로 발품을 팔고 있는 국민의 불편을 지금 청와대는 단순한 수업료 따위로 치부하는 건가"라며 "그러면 사고는 청와대가 친 건데 수업료는 왜 국민이 내고 있나"고 따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