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브레인이 사람처럼 생각하는 인공지능을 통해 세상을 변화시키겠다는 비전을 공개했다. 최근 오픈소스로 공개한 초거대 AI 모델 ‘KoGPT(코지피티)’와 ‘minDALL-E(민달리)’가 핵심이다.
빠르면 내년 그동안 AI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금융과 헬스케어 등 실제 산업현장에 기술을 녹여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20일 카카오브레인 김일두 대표는 온라인 기자간담회에서 카카오브레인의 AI 기술 개발 철학과 내년도 중요 사업 모델을 공유했다. 김 대표는 "교육과 헬스케어 산업은 AI기술을 적용했을 때 사람의 역할을 일부 대체 하는데 있어 고부가가치를 낼 수 있다고 꼽은 대표 분야"라며 "특히 바이오, 헬스케어 쪽은 라지 스케일, AI/영상인식을 기반으로 1~2년내 빠르게 혁신을 목격할 수 있는 산업군이 될 것"이라고 언급했다.
앞서 카카오브레인은 AI신약 개발사 갤럭스에 50억원을 투자하고 공동 연구를 위한 파트너십을 구축했다. 이를 통해 갤럭스와 공동 연구사업으로 신약 개발 혁신에 도전하겠다는 방침이다. 또 카카오 헬스케어CIC와도 협업도 이뤄질 것으로 본다고 밝혔다. 이어 그는 카카오브레인의 연구 성과가 카카오뱅크 AI컨텍트 센터에서도 빛을 발휘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김 대표는 "예컨대 언어모델 기반기술을 가지고 카카오뱅크 고객센터 기능에 있어 일부를 대체함으로써 주요 사항들을 처리할 때, 빠른 속도감과 정확한 대응을 가능하게 할 것"이라고 언급했다. 즉 카카오뱅크 상담 챗봇, 금융봇 등을 고도화해 고객 경험을 증대할 수 있다는 것이다.
카카오브레인과 카카오뱅크는 AI기술, 금융 소비자 행동 분석 등 다양한 분야에서 공동 연구를 진행하는 업무협약(MOU)를 맺은 바 있다. 이를 통해 양사는 한국어 특화 초거대 언어모델 `KoGPT`를 기반으로 사람과 같은 AI기술을 개발하는 과정에 있다. 김 대표는 "궁극적으로 추론 능력을 가진 사람 같은 AI, 즉 디지털휴먼에 지속해서 다가가는 것이 목표"라며 "교육과 헬스케어 뿐만 아니라 접근성이 떨어지는 영역에서 아주 큰 이익이 있는 영역들에서 수십, 수백개 이상의 혁신을 이뤄내는 회사로써 자리매김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