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부겸 국무총리가 코로나19 '먹는 치료제' 국내 도입이 다음주에 이뤄진다고 7일 밝혔다. 도입 날짜는 13일 전후가 될 전망이다. 정부는 구체적인 활용 방안을 다음주 중 발표할 계획이다.
김 총리는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주재한 코로나19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에서 이같이 밝히며 "신속히 의료현장에서 사용될 수 있도록 준비하겠다"고 말했다.
정부는 이제까지 화이자와 총 76만2000명분, 머크앤컴퍼니(MSD)와 총 24만2000명분 등 총 100만4000명 분의 구매 계약을 체결했다. 이 가운데 일부가 내주 들어온다는 것이다.
도입 날짜는 13일 전후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활용 방안은 내주 중에 발표될 것으로 보인다.
김 총리는 "확산속도가 매우 빠른 오미크론 변이를 감당하려면 지금의 방역체계 전반을 속도와 효율성 관점에서 전면 혁신해야 한다"고 밝혔다.
김 총리는 또 "확산 속도가 빠른 오미크론 변이를 감당하려면 지금의 방역체계 전반을 '속도'와 '효율성' 관점에서 전면적으로 혁신해야 한다" 며 "진단검사 우선순위를 정해 감염 가능성이 높은 국민들부터 신속하게 검사하는 방안을 검토하겠다"고 설명했습니다.
법원이 '청소년 방역패스'의 효력정지 신청을 일부 인용한 데 대해선 "방역패스를 둘러싼 혼란과 갈등이 장기화되면 결국 국민이 피해를 입게 된다"며 "법원이 가처분 항고심이나 본안 판결을 신속히 해줄 것을 요청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