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년에 비해 무더위가 빨리 찾아와 이질, 식중독 등 각종 수인성 전염병이 발생하고 있는 가운데 비브리오 패혈증균이 검출되는 등 방역당국을 긴장시키고 있다.
지난 27일 광주시 전남도 보건당국에 따르면 영광·함평 등을 비롯해 인천강화 지역의 해수 및 개펄에서 `비브리오 불니피쿠스균’이 올 들어 처음으로 검출돼 비브리오 패혈증 주의보가 발령됐다는 것.
6~9월에 발생하는 비브리오 패혈증은 비브리오균에 오염된 어패류를 날로 먹거나 해안에서 낚시 또는 어패류 손질시 피부 상처를 통해 감염될 수도 있다.
주로 40대 이상 알코올 중독자, 간질환 등 저항력이 약한 사람에게 발병하며 1~2일의 잠복기를 거쳐 오한, 발열, 설사, 복통, 구토 등의 증상과 함께 수포, 홍반 등이 생길 수 있다.
비브리오균은 섭씨 56도 이상의 열을 가하면 죽기 때문에 여름철 어패류는 반드시 끓여먹는 것이 좋다.
도내에서는 지난해 19명의 환자가 발생, 12명이 사망했다.
또 제주도로 수학여행을 다녀온 학생들이 잇따라 집단설사 등 식중독 증세를 보여 보건당국이 역학조사를 벌이고 있다.
목포 보건소에 따르면 지난 21~23일 제주도 수학여행을 다녀온 목포 모여중 2학년생 333명 중 29명의 학생들이 설사와 복통 등 식중독 증세를 보이고 있다.
이에 따라 전남도 역학조사반이 이들 학생의 가검물을 채취하는 등 정밀 역학 조사를 벌이고 있다.
광주 모고교 학생 29명이 지난 25일 제주시 S호텔 구내식당에서 저녁을 먹은 후 설사와 구토 증세를 보여 제주시 중앙병원에서 응급치료를 받고 이날 오후 퇴원, 광주로 돌아왔다. 그러나 증세가 심한 학생 2명은 광주시 광산구 송정동 모 병원에 입원, 치료중이다.
이에 앞서 지난 17일 마을회관에서 결혼피로연 음식을 먹은 함평군 대동면 A마을 주민 115명이 집단 식중독 증세를 보여 1명이 현재 입원, 치료를 받고 있다.
한편 전남도는 전국에 비브리오 패혈증 주의보가 발령됨에 따라 해안선을 끼고 있는 도내 16개 시.군에 철저한 방역 및 대민홍보를 지시했다.
도는 해당 시.군 보건소에 이날부터 오는 8월 말까지 매일 해수온도를 측정, 비브리오균의 서식환경을 관찰하도록 했다.
또 40대 이상 간질환자나 알코올 중독자, 쇠약한 노인 등은 낙지나 회, 패류 등을 날로 먹지 않도록 집중 홍보하고 횟집이나 식당 수조 및 조리대의 위생관리를 강화토록 지시했다.
도는 그러나 비브리오 패혈증 주의보가 발령될 때마다 도내 수산업계가 큰 타격을 받는 만큼 관리.감독활동 때 어민들의 피해를 최소화하는데 유의하도록 아울러 당부했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