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소속 국립생물자원관(관장 서민환)은 최근 울릉도 해역 수중 조사를 통해 이곳 일대의 바다에서 색동놀래기, 동갈돔류, 돛양태류 등 그간 출현 기록이 없던 49종의 어류를 새롭게 확인했다고 밝혔다.
이번 수중조사로 49종이 추가됨에 따라 울릉도 연안 어류는 기존 문헌조사(1993~2015년) 등으로 확인된 70종을 포함해 총 119종으로 늘어났다.
이번 조사기간동안 수중조사(잠수관찰)을 통해 발견한 종수는 기존 41종, 신규 49종을 합하여 총 90종이며 신규 49종은 황매퉁이, 숭어, 청대치, 쏠배감펭, 쭈굴감펭, 주홍감펭, 황점개볼락, 띠볼락, 쏨뱅이, 알롱횟대, 창치, 능성어, 세줄얼게비늘, 줄동갈돔, 동갈돔류, 게르치, 동갈퉁돔, 청황돔, 참돔, 구갈돔, 점촉수, 인디안촉수, 금줄촉수, 노랑촉수, 청줄돔, 황줄깜정이, 강담돔, 해포리고기, 파랑돔, 실용치, 황놀래기, 무지개놀래기, 색동놀래기, 두줄베도라치, 비늘베도라치, 동해비늘베도라치, 얼룩비늘베도라치, 큰입학치, 돛양태류, 줄망둑, 별망둑, 풀비늘망둑, 비단망둑, 흰줄망둑, 독가시치, 쥐돔, 넙치, 새양쥐치, 거북복이다.
국립생물자원관은 지난해 4월부터 기후변화에 대비하여 울릉도 연안(조하대) 23개 지점에서 어류 종다양성을 조사하고 있다.
23개 지점에서 90종의 어류가 관찰되었고(지점별 7~45종) 자리돔, 용치놀래기, 가시망둑 등 연안 암초성 어류의 관찰빈도가 높았다.
색동놀래기 등 난류성 어종과 띠볼락 등 한류성 어종이 함께 출현하는 특성을 보였다.
특히, 쓰시마난류에 실려 온 것으로 추측되는 촉수과, 놀래기과 등 남방계 어린 물고기도 관찰됐다.
한편, 국립생물자원관 연구진은 기후변화에 따른 울릉도와 독도의 연안성 생물자원 종다양성 변동을 추적할 수 있는 과학적인 수중 관측(모니터링) 기법을 개발하는 등 지속적인 조사 연구를 추진할 예정이다.
올해에는 어류 종다양성 변동 양상을 관측할 수 있는 수중 관측 기법개발 연구에 집중하고 있으며, 앞으로 동해의 어류 종다양성 변동에 관한 연구를 지속적으로 수행할 계획이다.
또한, 울릉도 연안에서 새로 확인된 동갈돔류와 돛양태류의 분류학적 실체 확인을 위해 표본을 확보하는 등 추가적인 심층 연구도 진행할 예정이다.
이경진 국립생물자원관 동물자원과장은 “이번에 실시한 울릉도 해역의 수중조사를 통해 울릉도 해역 어류의 종목록 등 종다양성에 관한 최신 자료를 구축했다”라며, “앞으로 체계적인 수중 조사 지침을 마련하여 미래 기후위기에 따른 한반도 어류다양성 변화 연구에 매진하겠다”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