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제 국회에선 서울시청과 용산구청 대검찰청과 서울경찰청 등을 대상으로 이태원 참사 국정조사 2차 기관보고가 있었다.
이틀 만에 다시 열린 이태원 참사 기관보고, 박희영 용산구청장과 신봉수 대검 반부패부장 등 주요 증인들이 불출석하면서 시작부터 공방이 일었다.
용산구청이 당초 알려진 것보다 더 이른 시점에 참사 사실을 알고 있었다는 사실도 공개됐다.
서울종합방재센터와 용산구청 상황실의 전화 통화 녹취록을 보면, 참사 발생 14분 뒤인 밤 10시 29분, 서울 소방은 "사람들이 압사당하겠다는 신고가 들어온다"고 말했고, 구청 상황실은 "네, 맞아요, 이태원역 해밀턴 말씀하시는 거죠?"라고 답했다.
소방이 아닌 행안부를 통해 밤 10시 53분에 처음 참사를 인지했다던 기존 보고와 달라, 곧바로 위증 의혹이 제기됐다.
아예 통화한 적이 없다고도 했다.
야당은 유가족들을 향한 2차 가해 현수막이 너무 많다며 대책을 주문했고, 여당은 닥터카 탑승 논란을 일으킨 신현영 의원에 대한 경찰의 즉각 수사를 요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