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디밴드 총집결! ‘2025 대구인디싸운드페스티벌’, 대구를 뒤흔든다
‘대구인디싸운드페스티벌’(이하 ‘대구인싸페’)은 (사)인디053이 주최·주관하고 대구시가 후원하는 무료 야외 음악축제다. 전국 각지에서 독창적인 색깔을 가진 인디 뮤지션들이 한자리에 모여 대구의 인디씬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을 예정이다.2016년 첫 개최 이후 꾸준히 이어져 온 대구인싸페는 2020년 코로나19로 잠시 중단됐으나, 올...
▲ 사진=울산광역시울산시농업기술센터(소장 신태만)는 일찍 모내기한 논을 중심으로 예년보다 이른 먹노린재 피해가 발견되어 농가 주의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먹노린재는 논 근처 산기슭의 낙엽 밑이나 논둑 등에서 겨울을 나고 월동한 성충이 논으로 이동해 피해를 주는 해충이다.
농업기술센터에서 조사하고 있는 예찰 필지에서 6월 8일에 성충 개체가 첫 채집되었다. 이는 전년보다 10일이나 빨라진 것이다.
또한, 12일에는 농가 피해 신고에 따른 현장 확인 결과 먹노린재 피해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지난해 먹노린재가 발생했던 지역(온양, 언양, 두서, 삼동)에서는 논에 모내기 후 놓아둔 보식용 모 등을 필히 살펴보아야 한다.
이때 성충 개체가 발견되면 방제를 실시하여 암컷이 알을 낳기 전에 개체수를 줄여야 한다. 이 시기를 놓치면 산란한 알에서 깨어난 유충으로 인한 피해가 10월까지 이어진다.
먹노린재 피해 증상은 초기에는 잎에 가로로 불규칙한 무늬가 생기거나 꺾어지고 속잎이 누렇게 말린다. 피해가 심한 경우 벼키가 작아지고 새끼치기가 억제되어 말라 죽는다. 후기에는 반점미가 생기거나, 외관상 이화명충 피해와 유사한 이삭마름 증상을 보인다.
먹노린재 방제 시에는 작은 충격이나 소리에도 숨는 습성을 감안해 벼줄기 아랫부분에 약액이 흘러내릴 정도로 충분히 살포하여 먹노린재 몸에 약액이 묻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또한 월동서식처인 논둑과 배수로의 잡초까지 방제하는 것이 좋다.
농업기술센터 관계자는 “최근 2~3년 전부터 벼 생육 중후기에 이상 증상으로 인한 민원의 대부분이 먹노린재 피해로 확인되었다.”라며 “이른 모내기를 실시한 곳과 작년 피해가 발생한 논은 필히 논둑 등 논 가장자리 중심으로 주의 깊게 살펴볼 것”을 당부했다.
먹노린재 방제약제는 현재 54품목이 등록되어 있으며 농약안전정보시스템(http://psis.rda.go.kr)에서 사용시기와 방법 등을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