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부가 '공산주의 경력'을 이유로 육군사관학교 교정의 홍범도 장군 흉상 이전 계획을 밝혀 논란이 일고 있다.
순국 78년 만에 최고의 예우를 받으며 고국으로 돌아온 봉오동·청산리 전투 승리의 주역, 홍범도 장군이 2년 만에 흉상 철거 논란에 휩싸였다.
국방부가 '공산주의 경력'을 이유로 육사 교정의 흉상을 다른 곳으로 옮기겠단 방침을 밝힌 것이다.
이종찬 광복회장은 국방장관에게 공개서한을 통해 항의했다.
"흉상으로 모신 홍범도 장군 등 다섯 분은 독립전쟁의 영웅들"이라면서, "그 자리에 백선엽 장군 등의 흉상으로 대체한다면 좌시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여당 일각에서도 비판이 나왔다.
홍준표 대구시장은 "항일 독립전쟁 영웅까지 공산주의 망령을 뒤집어씌워 퇴출하려 하는 건 오버하는 것"이라고 했다.
유승민 전 의원은 "홍 장군은 해방 2년 전 작고해 북한 공산당 정권 수립이나 6.25 전쟁과는 아무런 상관이 없다"며 "윤석열 정권의 이념 과잉"이라고 비판했다.
민주당은 우리 군 뿌리인 독립군과 광복군의 역사를 지우는 건, 철지난 색깔론이라고 규정했다.
지지층을 결집하려는 윤석열 정부의 총선용 정치선동이라면서 흉상 철거 계획 철회를 요구했다.
대통령실은 "적합한 장소로 재배치"의 취지일 거라며, 국방부와 육사가 잘 검토해 결정할 거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