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혜빈 저자, 『작은 목소리를 큰 희망으로』 출판기념회 개최
동구의회 윤혜빈의원[뉴스21일간=임정훈]울산 동구는 윤혜빈 저자의 신간 『작은 목소리를 큰 희망으로』 출간을 기념하는 출판기념회가 오는 2025년 11월27일(목)저녁7시,동구청 2층 대강당에서 열린다고 밝혔다.이번 저서는 3년 동안 지역 현장에서 들려오는 작은 목소리를 더 넓은 사회적 공감과 희망으로 연결하고자 하는 저자의 의정 활동...

지난해 전국 사과 생산량은 39만 4천 톤이었다.
이 가운데 62%가 경북 지역에서 생산됐고, 경남, 충북이 뒤를 이었다.
그런데 10년 뒤에는 최대 산지가 경북에서 강원도로 바뀔 전망이다.
기후 변화에 따른 결과인데, 2050년대에는 강원도 고산 지역이 주 재배지가 될 것으로 예측됐다.
국민 1인당 연간 소비량 1위 과일인 감귤의 재배지는 제주도를 넘어 점점 북상하는 추세다.
2030년대부터는 남해안 대부분 지역이 재배 가능지로 분류될 예정이고, 2070년대에는 재배 한계선이 강원도 해안지역으로까지 올라갈 것으로 보인다.
대표적 온대 과수인 배도 한반도 기후가 아열대로 변하는 탓에 2050년대부터 재배 가능 면적이 줄어들 것으로 분석됐다.
수온 상승으로 인한 어족 자원 변화도 두드러진다.
대표적인 한류성 어종이자 한때 국민 생선으로 불렸던 명태는 자취를 감춘지 오래다.
대신 난류성 어종인 방어와 참다랑어 등이 남해에서 동해로 올라왔고, 아열대 어종인 자리돔도 독도 연안에서 확인되고 있다.
한국 해역의 평균 표층 수온은 지난 55년 동안 약 1.36도 상승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