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구, 직장 내 괴롭힘 예방 교육으로 존중과 배려의 조직문화 확립
[뉴스21일간=김민근 ] 울산 남구(구청장 서동욱)는 4일 구청 6층 대강당에서 전 직원을 대상으로‘2025년 직장 내 괴롭힘 예방 교육’을 실시했다. 이번 교육은 직장 내 괴롭힘을 사전에 예방하고 직원 간 상호 존중과 배려가 정착된 건강한 공직문화 조성을 위해 마련됐다. 직장 내 괴롭힘 예방 전문강사를 초빙해 진행된 이날 교육에서...
▲ 사진=KBS NEWS 영상 캡처13년 차 임상 심리 전문가인 이한별 씨, 최근 상담 과정에서 고민 해결을 위해 챗GPT를 이용하는 사람들을 자주 만난다고 말한다.
이는 통계로도 확인되는데, 조사 대상 AI 이용자의 절반 이상은 '심리적 위안'을 위해 인공지능을 써봤다고 답했다.
특히, 젊은 층에서 이런 경향은 두드러진다.
정신적 안정을 위해 AI에 의존하는 경우가 적지 않다는 건데, 전문가들 시각은 다르다.
상담 지식이 없고, 사용 시간에 따라 평가받는 '챗봇'의 특성상 이용자를 붙잡아 두려 부적절한 대화까지 활용할 수 있다는 우려 때문.
비슷한 이유로 미국에선 '챗GPT'에 대한 안전 규제 마련 움직임이 활발하다.
지난달 오픈 AI는 챗GPT에 자녀 보호 기능을 도입했고, 의회도 정신 건강 분야 AI 사용에 대한 논의에 나섰습니다.
인공지능에 대한 관심이 많은 우리나라에서도, AI 과의존 대응책을 서둘러 마련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