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천 호텔 화재 유가족, 경기도·국가 상대로 손배소…“소방 대응 부실, 국가 책임 있다”
지난해 8월 7명이 숨진 부천 호텔 화재 참사의 유가족들이 경기도와 국가를 상대로 손해배상 소송을 제기했다.소송에는 숨진 5명의 유족 16명이 참여했으며, 피고는 호텔 관계자 4명, 경기도, 국가다.유족 측은 소방의 대응 미흡으로 인명 피해가 커졌다며, 경기도가 소방의 지휘·감독 책임을 다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특히 고가사다리차를 ...
울산동구치매안심센터, 치매안심가맹점 4개소 추가 지정
동구청제공[뉴스21일간=임정훈]울산 동구치매안심센터(센터장 박수환)는 치매 환자와 가족이 안심하고 생활할 수 있는 치매 친화적 환경 조성을 위해 관내 치매 안심 가맹점 4개소를 추가 지정했다. 치매 안심 가맹점은 약국, 미용실, 카페 등 지역 주민의 생활과 밀접한 업소로, 종사자 대상 치매 파트너 교육을 통해 치매에 대한 이해와 ...
김건희 여사 관련 의혹을 수사 중이던 민중기 특별검사팀 조사 직후 숨진 경기 양평군청 공무원 A씨의 생전 음성이 공개됐다.
A씨는 특검 조사 다음날 김선교 국민의힘 의원실 보좌관에게 전화를 걸어 “1대3으로 쪼이고, 사실이 아닌 진술이 조서에 들어갔다”고 호소했다. 문제의 진술은 김 여사 일가 기업인 ESI&D에 전화를 걸었다는 내용으로, A씨는 실제로는 전화한 적이 없다고 밝혔다. “특검 애들이 혈안이 돼 있었다”는 말로 수사 과정에서 받은 심리적 압박을 토로했다.
A씨는 또한 조사 과정에서 당시 양평군수였던 김선교 의원과의 관계에 대한 집중 추궁을 받았다고 밝히며 “계속 ‘아니다, 모른다, 간 적 없다’고 말했는데도 추궁이 이어졌다”고 전했다.
앞서 A씨는 자필 메모에서도 특검의 강압적 수사에 대한 불만을 남긴 것으로 알려졌다.
국가인권위원회는 해당 사건에 대해 직권조사에 착수했으며, 수사 절차의 적정성과 인권 침해 여부를 조사할 예정이다.
특검팀은 “강압이나 회유는 없었으며 모든 진술은 자발적이었다”고 해명했지만, 야권과 시민단체는 “특검이 진실 규명보다 정무적 성과에 몰두한 결과”라며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