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천 호텔 화재 유가족, 경기도·국가 상대로 손배소…“소방 대응 부실, 국가 책임 있다”
지난해 8월 7명이 숨진 부천 호텔 화재 참사의 유가족들이 경기도와 국가를 상대로 손해배상 소송을 제기했다.소송에는 숨진 5명의 유족 16명이 참여했으며, 피고는 호텔 관계자 4명, 경기도, 국가다.유족 측은 소방의 대응 미흡으로 인명 피해가 커졌다며, 경기도가 소방의 지휘·감독 책임을 다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특히 고가사다리차를 ...
▲ 사진=픽사베이최근 사생활 침해 우려가 제기된 로봇 청소기에 대해 개인정보보호위원회가 사실 관계를 들여다보고 있다고 밝혔다.
개인정보보호위원회는 오늘(23일) 자료를 내고, 영상·음성 장비가 달린 로봇 청소기에서 개인정보가 유출될 수 있다는 우려를 고려해 주요 로봇청소기 브랜드 제품의 실태를 점검하고 있다고 밝혔다.
점검 브랜드는 삼성전자와 LG전자, 로보락, 에코백스, 샤오미 등 5개로, 개인정보위는 이들 제품을 직접 구매해 개인정보 처리 방침 등을 분석하고 있다고 위원회는 설명했다.
개인정보위는 또, 디지털 증거물 감식을 담당하는 포렌식 연구소를 연내에 구축하는 한편, 사물인터넷(IoT)이나 인공지능(AI)을 활용한 가전 제품 등 개인 정보를 수집하는 신기술의 침해 우려를 분석하는 전담 센터를 마련할 계획.
앞서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국정감사에서는 국내에 유통되는 중국산 로봇청소기와 IP카메라 등이 보안 인증을 받지 않고 있다며 관련 제도를 강화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다.